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정녕 금단의 더블플랫을 저질러버릴 셈인가?
GTO위자드의 도움을 받아
버튼포지션의 더블플랫 레인지를 공부해부자
무료버전이라 최대한 비슷한 상황으로 맞췄다
윗짤과 다른건 2bb오픈이 아니라 2.3bb라는 점과
3벳사이즈가 10bb가 아니라 12.5bb라는 것

- 컷오프 오픈 상황 버튼의 플랫 레인지
JTs으로 50% 빈도로 레이즈, 50% 빈도로 콜
QJs은 36% 빈도로 레이즈, 64% 빈도로 콜
주목할 만한 점은 QJs의 경우에는 레이즈 빈도가 더 낮아졌다는 사실
왜 JTs의 플랫빈도가 QJs보다 낮은 걸까?
그 이유를 알기위해 컷오프의 오픈레인지를 살펴보자
- 컷오프의 오픈레인지
JTs으로 플랫하는 이유는 당연히 커넥티드 수딧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지금은 콜(플랫) 여부를 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충분한 에쿼티를 확보해야만 +ev 콜이 될 것이다
프리플랍 에쿼티에 대한 빠른 이해를 위해 몇가지 예시를 나열하겠다
AKo vs 72o
(67.57% : 32.43%)
AKo vs 76s
(58.45% : 41.57%)
AA vs 76s
(77.53% : 22.47%)
도미네잇 당하지 않은 커넥티드 수딧은 하이파켓을 상대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꽤나 높은 에쿼티를 가진다
말그대로 가는 길이 다르니까.
하이파켓에 맞서는 경우엔 에쿼티가 너무 낮지만
보드에 페어가 없을 때 커넥티드수딧으로 스트레이트를 만든다면
파켓을 가진 상대가 셋마이닝에 성공한다해도 이길 수 있고
보드에 페어가 있다면 스트레이트를 만들어도 일찍부터 팟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폴드를 결정하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조금 희망적인 관점이지만 버튼의 플랫 이후 SB와 BB가 모두 폴드한다고 가정해보자
적어도 이 경우에서 만큼은 버튼의 JTs 플랫 자체가 확실한 +EV 선택이어야 할 것이다
(커넥티드수딧 핸드가 가진 특성과 AKQ가 깔린 보드에서 JT이 넛스트레이드가 된다는 점 등 더 많은 부분을 고려해야하겠지만 글이 너무 길어질테니 생략하겠다)
이러한 플랫에서 팟오즈가 어떤지 확인해보자
CO 2BB 오픈에 BTN이 플랫
2 / (1.5 + 2.0 + 2.0) = 36.3%
CO 2.3BB 오픈에 BTN이 플랫
2.3 / (1.5 + 2.3 + 2.3) = 37.7%
도미네잇 당하지 않은 커넥티드 수딧은 40%가 넘는 에쿼티가 나오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포스트플랍 운영이 뒷받침된다면 +EV 콜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위 사진의 CO 오픈레인지에서 빈도오픈인 핸드를 제외시키면 총 350콤보가 있다
(파켓 66콤보, 수딧 152콤보, 오프수딧 132콤보)
QJs을 도미네잇하는 콤보는 88개라서 플랫하면 25% 확률로 도미네잇 당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파켓 24콤보, 수딧 16콤보, 오프수딧 48콤보)
JTs을 도미네잇하는 콤보는 126개라서 플랫하면 36% 확률로 도미네잇 당한다고 예상할 수 있다
(파켓 30콤보, 수딧 24콤보, 오프수딧 72콤보)
이제 우리는 QJs보다 JTs의 플랫빈도가 낮은 이유를 알 수 있다
JTs이 더 자주 도미네잇 당하기 때문에 플랫 빈도를 낮추고
그만큼 레이즈 빈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라면 UTG의 오픈레인지에는 CO의 오픈레인지보다 9, 8, 7, 6, 5가 포함된 핸드가 훨씬 적으니
CO 오픈에 대한 플랫보다 UTG 오픈에 대한 플랫에서
로우커넥티드수딧을 사용하는 빈도가 더 높다고 나와야할 것이다

- CO 오픈 vs BTN
- UTG오픈 vs BTN
54s의 플랫빈도가 3배 이상 높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버튼의 더블플랫 레인지에 대해 알아보자
-버튼의 더블플랫 레인지
첫짤의 상황처럼 마지막 액션을 가진 BTN의 더블플랫 레인지다.
CO 2BB 오픈, SB 10BB 3벳 상황에서 BTN의 더블플랫 = 팟오즈 25.8%
CO 2.3BB 오픈, SB 12.5BB 3벳 상황에서 BTN의 더블플랫 = 팟오즈 27.2%
플랫상황의 팟오즈와 마찬가지로 3벳사이즈가 확연히 달라진다해도 팟오즈는 고작 1%의 차이를 보인다
팟오즈 자체가 압도적으로 낮기 때문에
"누가봐도 도미네잇 당하고있는" 핸드만 뺴고 아무거나 막 들어가도 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더블플랫 상황에 처한 버튼의 핸드레인지는 이미 너무나 좁혀져있기에
도미네잇 당할 가능성이 큰 핸드를 빼면 남는 게 얼마 없다
수딧핸드 [ AJs , A10s ] 중에서 A10s만 버렸을 뿐인데 AJs 하나만 남아버렸다
결과적으로 BTN의 더블플렛 레인지는 다음과 같다
커넥티드수딧의 경우엔 KQs만 남고
수딧은 AJs만 남고
수딧개퍼는 KJs만 남고
브로드웨이 핸드는 AQo만 남으며
파켓은 TT+부터 퓨어콜
99 이하는 빈도콜이라고 한다.
결론
만약 당신이 플랫애호가라도, 플랫하는 걸 그만두거나 더 줄일 필요는 없다
다만, 포지션에 맞는 플랫레인지와 빈도를 알고 있어야 더 효과적으로 플랫할 수 있을 것이다
내일은 트리플플랫으로 상대를 암살해보자
2025.06.06 13:07:25
오.. 개추
2025.06.06 13:52:12
내용좋다
2025.06.06 14:48:28
글 잘봤습니다. 도미네잇 여부에 따라 3벳의 필요성 내용 좋네요.
궁긍한게 있는데요.
2025.06.06 15:02:50
(수정됨)
@엘루시도
GTO 위자드에서 컷오프 오픈 사이즈를 2bb로 설정할 수 없어서
첫짤과 최대한 비슷한 3벳 사이즈로 보기 위해서 낮음으로 했습니다
첫짤에서 나온 3bet 사이즈는 3벳 사이즈가 작은 편인 10방에서조차도 소인배같은 사이징이었습니다
3벳한 SB는 아웃오브포지션이고 이미 팟이 5.5BB에 멀티웨이라서
10방에서도 평균 11.5bb는 사용하는 거 같고
50방+ 레귤러들은 최소 12.5bb로 쓰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2025.06.06 21:59:12
버튼인데 플랍은 봐야지 ㅇㅇ
2025.06.07 07:20:35
한옾에서 AK으로 트리플 플랫 해서 개암살 맥스벨류 뽑은적 있는데 ㅋㅋㅋㅋ
2025.06.07 11:52:55
오 지식+1
2025.06.07 11:58:26
내일 트리플플랫 내용이 더궁금하다옹 내일 꼭 써주라냥
2025.06.07 12:46:39
트리플 플랫 - 물레방아 당할때 대응법인가요?
2025.06.07 13:07:07
뜰거같으면 콜 아님?
2025.06.07 20:26:51
@니트
내꺼뜨면먹는게임맞죠?
2025.06.08 07:12:16
@렌고쿠
정확히 이해하셨음
2025.06.08 03:39:55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있습니다. 팟오즈가 25.8 또는 27.2이기 때문에 "누가봐도 도미네잇 당하고있는" 핸드만 뺴고 아무거나 막 들어가도 되는 상황이라고 하셨는데요. 헤즈업에서 저 팟오즈면 납득이 되지만 3way에서 저 팟오즈면 도미네잇이 아니더라도 고민되는 마지노선 정도의 팟오즈 아닌가요?
2025.06.08 07:09:48
(수정됨)
@아무거나아오
글에는 "누가봐도 도미네잇 당하고 있는 핸드만 빼면 된다"라고 했는데
수학적인 표현으로 바꿔보자면 "35%의 에쿼티를 가질 가능성이 크며, 25%미만의 에쿼티를 가질 가능성도 낮아서 유리한 핸드로 더블플랫해라"가 되겠네요
프리플랍 에쿼티를 확인해보면 KQs은 행복회로를 굴리지 않아도 35% 에쿼티가 나오는 경우가 흔하고, 상황이 조금 안좋아도 25% 정도는 확보됩니다. 그래서 GTO위자드는 버튼에서 KQs로 더블플랫 여부를 결정해야하는 순간이 오면 100% 빈도로 콜을 하는 게 +EV라고 말하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버튼의 플랫 레인지에 있는 모든 Q하이핸드, J하이 핸드, 9이하의 파켓은 행복회로를 정말 미친듯이 굴려야만 35% 에쿼티가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3way에서 저 팟오즈면 도미네잇이 아니더라도 고민되는 마지노선 정도의 팟오즈"라고 하셨죠? 그 말씀이 맞습니다
GTO위자드도 같은 말을 하는 거 같아요. 지금 가지고있는 핸드 중에 최고의 것들로만 더블플랫 하라고 하네요.
2025.06.08 16:49:09
@Gardens
감사합니다ㅎㅎ
2025.06.09 12:22:00
버튼 플랫한 레인지가 3벳 맞아도 그대로(어떤 핸드는 퓨어콜) 더블플랫 하는 이유가 궁금했는데 여기 해답이 있었네요. 흥미로운 주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