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 추출 사이트와 chatGPT를 이용한 번역/요약입니다. 개인 저장용
------------
베팅 볼륨(Betting Volume)이란?
베팅 볼륨은 베팅 크기(Bet Size) 와 빈도(Frequency) 의 곱을 모두 합한 값이다.
쉽게 말해 특정 상황에서 플레이어가 평균적으로 팟에 얼마나 돈을 넣게 될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시
6BB(팟의 100%)를 17.7% 빈도로 베팅
2BB(팟의 1/3)를 88.6% 빈도로 베팅
⇒ 베팅 볼륨 = (6×0.177) + (2×0.886) = 약 1.234BB
GTO 전략에서의 베팅 볼륨
GTO 솔버는 종종 같은 핸드를 베팅과 체크로 섞는 전략(Mixing)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두 행동의 기대값(EV) 이 완벽히 같기 때문이다.
즉, 베팅이든 체크든 상대가 앞으로 팟에 넣게 될 평균 금액(베팅 볼륨)이 완벽히 동일하다는 것이다.
이는 매우 놀라운 현상이며, GTO 전략이 근본적으로 베팅 볼륨을 밸런싱하려 한다는 의미이다.
예시 (SB vs BB, 로얄 플러쉬 상황)
SB가 로얄 플러쉬일 때 체크와 베팅의 EV가 똑같다.
따라서 상대(BB)는 SB의 액션에 상관없이 평균적으로 똑같은 금액을 팟에 넣게 된다.
팟이 6BB에서 시작하고 EV가 16.5BB라면, 상대의 베팅 볼륨은 10.5BB 이다.
베팅 볼륨과 현실적인 플레이
실제 플레이어들은 베팅 볼륨을 절대 GTO처럼 정확히 밸런싱하지 않는다
.
실제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은 상대가 체크했을 때보다 베팅했을 때 더 많은 돈을 팟에 넣는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너무 방어적(call-oriented)이기 때문이다.
실전 적용:
일반적으로는 슬로우플레이(체크)를 덜 하고, 좋은 핸드를 바로바로 베팅해서 돈을 더 넣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액션 플로우(Action Flow)는 왜 생기는가?
왜 우리는 항상 '어그레서(이전 스트릿에서 베팅한 사람)'에게 체크할까?
기본적으로 더 강한 레인지를 가진 플레이어가 더 많은 돈을 팟에 넣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 즉, 상대가 팟에 넣는 돈(베팅 볼륨)이 더 많을 것으로 기대되는 행동을 택하는 것이다.
예시 (BTN vs BB, 플랍 KQ6 상황에서 바텀셋)
내 강한 핸드들(셋, 투페어 등)은 체크할 때 EV가 더 높다.
따라서 강한 핸드들이 모두 체크를 선호하므로, 솔버는 블러프 포함 모든 핸드를 함께 체크하게 된다. (밸런스 유지 목적)
핵심 원칙: 강한 핸드는 상대가 돈을 더 많이 넣게 되는 행동을 택한다.
솔버의 '교묘한' 베팅 볼륨 밸런싱 전략
GTO 솔버는 한 노드(상황)에서 베팅 볼륨을 높이면, 이를 밸런싱하기 위해 다른 노드의 베팅 볼륨도 함께 높이는 '교묘한' 전략을 쓴다.
예시 (SB vs BB, 플랍 552 상황)
BB가 SB의 베팅에 자주 레이즈하도록 설정하면, SB가 체크했을 때 BB가 자연스럽게 자주 배팅(stab)하는 식으로 조정된다.
이렇게 하여 솔버는 모든 라인에서 강한 핸드가 액션 선택에 대해 무차별(indifferent) 하도록 만든다.
* 무차별(indifferent)이란? : 액션 선택 간에 아무런 EV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 예를 들어, 리버에서 올인을 맞았을 때, 콜/폴드 액션 둘 다 예상되는 EV가 0이라면 이를 무차별(indiffrenet)하다라고 함.
핵심 정리 및 결론
베팅 볼륨(BV) 은 상대가 팟에 넣는 금액의 기대값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강한 핸드는 상대의 베팅 볼륨이 가장 높은 액션을 택해야 한다.
GTO 솔버는 베팅 볼륨을 균형 있게 만들어 EV가 같도록 행동을 섞는다.
현실에서는 대부분의 플레이어가 체크보다 베팅했을 때 돈을 더 많이 넣으므로, 강한 핸드를 체크로 숨기기보다 적극적으로 베팅하는 게 더 수익적이다.
액션 플로우('어그레서에게 체크')는 결국 베팅 볼륨에서 비롯된 전략적 원칙이다.
베팅 볼륨은 매우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포커 이론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은, 앞으로 더 깊이 탐구될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
여기서 특별히 주목할만한 내용으로 한 쪽 노드의 고정이 다른 노드의 전략도 변경시킨다는 점이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추가 설명을 해볼게요.
예를 들어서 SB bet -> BB raise/call/fold 상황에서 우리가 BB raise 빈도를 높힌 노드를 쓰면
SB check -> BB bet/check 상황에 대한 노드는 아무것도 건드린 것이 없어도 raise를 늘린 노드에 맞춰서 bet 빈도가 늘어난다는 얘기입니다.
즉, 솔버 입장에서 SB bet에서 대응한 BB 액션은 공격적으로 변했는데, SB check에 BB 액션은 그대로라면
개별 노드에서는 SB check에서의 BB 대응이 균형적일지라도 전체 게임 트리에서는 한쪽만 공격적인 상황이기 떄문에 명백히 불균형이라는 거죠.
이런 상황일 때 SB가 할 수 있는 익스플로잇은 어떤 게 있을까요?
바로 강한 핸드만 배팅을 때리고 마지널한 핸드는 모조리 첵으로 빼는 겁니다.
여기서 raise 빈도가 늘어났다는 의미는 BB의 레이즈에 너티한 핸드뿐만이 아니라 블러프도 그 정도로 늘어났다는 얘기이기 때문에,
팟을 키울 요인이 있는 핸드만 배팅을 때려서 레이즈를 맞고 팟을 키우는 거죠.
반면에 SB가 마지널한 핸드를 첵으로 모조리 빼도 BB는 '배팅에 레이즈로 대응하는 만큼' 공격적이지는 않습니다.
SB의 첵 레인지는 분명 상대가 충분히 공격해야할만큼 취약해져버렸지만, BB는 그만큼의 필요한 빈도로 배팅을 하지 않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솔버는 벳->레이즈의 빈도가 높다면 그만큼의 첵->벳의 빈도도 동시에 가져가려고 합니다.
이 결과가 위에서 언급한 '무차별(indifferent)'을 만들어내는 겁니다. SB는 더 이상 벳/첵 두 액션 어디에서도 익스플로잇할 여지를 만들 수 없죠.
그래서 결론은 솔버는 저렇게 조정한다는 얘기 ㅎㅎ;
항상 저런 솔버의 개념을 볼 때마다 저는 우리가 무조건 저렇게 해야한다라는 얘기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불가능하기도 하고)
중요한 건 왜 저런 조정이 있는가? 저기서 불균형이 일어난다면 어떤 방식으로 익스플로잇될 수 있는가를 아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상대방이 굳이 저희를 익스플로잇을 하지 않는 이상 우리가 저런 식으로 트리 전체의 액션까지 균형을 맞추는 데 집착할 필요는 없지만
반대의 경우는 분명 우리가 익스플로잇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기는 거니까요.
2025.03.31 11:48:12
rng 1 2로만 범위정하고 1뜨면 벳 2뜨면 첵으로
빈도조절 완료
어차피 이기고 지는것도 50:50이다
2025.03.31 17:28:25
@테제
ㄹㅇㅋㅋ
2025.03.31 12:29:38
역시 쌍검술 좌 그는....
2025.03.31 17:28:17
@블마
유리 벨렉은 신이야
2025.03.31 16:42:16
정보 감사합니다
2025.04.02 02:34:40
@강외
2025.04.01 13:19:16
노드에 대한 내용이 좋네요
2025.04.02 02:37:07
@엘루시도
감사합니다 ㅎ.ㅎ
2025.04.01 15:10:13
일 바빠서 영상 못보고있었는데 정리 감사합니다
2025.04.02 02:37:17
@Juice
2025.04.01 22:44:13
마지막에 추가설명 내용이 되게 좋네요
감사합니다.
2025.04.02 02:37:42
@FR13NDS
2025.04.02 03:51:34
감사합니다 !
2025.04.02 03:59:28
@calvin1
2025.04.06 15:55:52
예시
6BB(팟의 100%)를 17.7% 빈도로 베팅
2BB(팟의 1/3)를 88.6% 빈도로 베팅
⇒ 베팅 볼륨 = (6×0.177) + (2×0.886) = 약 1.234BB
베팅볼륨이 1.2라는게 이해가 안되는데
내가 잘못이해한거임? 아니면 숫자가 잘못써있는거임?
2025.04.06 16:21:55
@Gardens
예시
73.6% 빈도로 체크
6BB(팟의 100%)를 17.7% 빈도로 베팅
2BB(팟의 1/3)를 8.6% 빈도로 베팅
⇒ 베팅 볼륨 = (6×0.177) + (2×0.086) = 약 1.234BB
아 이게 맞음
검수를 제대로 안했네 ㅈㅅㅈㅅ
2025.04.07 13:05:29
@새로운참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2025.04.17 13:48:22
IP PFRvs OOP PFC 에서 IP의 플랍 체크에, OOP가 턴에 매우 어그레시브하게 벳한다는 노드가 있을 때.
IP는 강한 핸드를 전부 플랍 체크에 넣고, 미디엄, 블러프 핸드를 플랍벳에 넣을 것이다.
OOP는 이러한 익스플로잇을 방지하기 위해 솔버의 입장에서 턴 어그레시브 프로브 벳 노드와 함께, 플랍 체크 레이즈도 늘리는 전체적으로 어그레시브한 라인을 구성할 것이다.
즉, 한가지 라인에서 어그레시브한 라인을 맞춘다면 다른 라인에서도 같이 어그레시브해지면서 베팅볼륨이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것인데. 위의 예시와 같이 다른 라인의 어그레시브한 플레이가 꼭 동일 스트릿에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턴 카드에 따라서 어그레시브한 정도가 달라질텐데, 어떻게 턴어그레시브 프로브벳과 플랍 체크레이즈를 적절한 비율로 동시에 늘릴 수 있을까... 뭔가를 놓치고 있는 것일까?
또 다른 질문은 이 영상이 한쪽 라인의 베팅 볼륨을 늘리면 다른쪽 라인의 베팅 볼륨도 같이 늘어난다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결국 GTO가 정한 최적의 베팅 볼륨에 비해서 -EV플레이가 발생할 것이다. GTO가 정한 최적의 베팅 볼륨은 플랍에 따른 포지션 EQ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
2025.04.18 05:32:17
@엘루시도
여기서부터는 내가 아는 지식으로 대답하는 거라 정확하진 않을 순 있음. 하여간 내가 이해하고 있는 솔버를 기반으로 얘기 해봄.
일단 첫번째 문장에서 '턴에 매우 어그레시브하게 벳한다는 노드'가 플랍의 플레이에 영향을 준다는 말이 있는데, 이건 내가 알기론 솔버의 동작 원리를 생각하면 아닌 걸로 알고 있음. 솔버가 노드락한 액션이 영향을 주는 건 각 스트릿으로 한정됨. 즉, OOP가 플랍 체크 레이즈를 많이 하는 전략을 쓴다면 그건 플랍에서의 IP의 배팅 레인지에도 영향을 주지만, 턴의 프로브 벳은 상관 없음.
결국 두 액션은 IP의 두 가지 다른 레인지를 상대로 각각으로 일어나는 액션임. 플랍의 공격적인 체크 레이즈는 IP의 '플랍 배팅 레인지'를 상대로 일어나는 조정임. 턴의 공격적인 프로브 벳은 IP의 '플랍 체크 이후 턴으로 넘어온 레인지'를 상대로 일어나는 일임. 즉, 1번에 대한 답을 하자면 그냥 각 상황은 개별로 파악해서 개별로 대응해야 함.
2025.04.18 06:00:31
@엘루시도
2번 질문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음. '플랍에서는 IP의 어그레시브함이 -EV가 아님. 하지만 턴에서 OOP가 대량의 EV를 산출할 수 있게 됨.'
플랍에서 IP의 플레이는 사실 -EV 플레이는 아님. 왜냐하면 저기서 말하는 어그레시브함이 밸류-블러프 균형이 무너진 상태는 아니기 때문임. 하지만 문제는 이 경우 벳-콜 라인과 체크-체크 라인에 굉장히 마지널하고 머지한 핸드밖에 남지 않게 되고 굉장히 약한 레인지가 되어버림. 이건 말하자면 한 스트릿 내에서의 각각의 액션에서는 무차별하게 조정했지만, 플랍 턴 리버 각 스트릿에서는 차별이 생긴 꼴임.
GTO가 정한 최적의 배팅 볼륨이라는 건 결국 이런 각 스트릿에서도 우리의 레인지가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서 구성이 되는 것임. 흔히 말해서 넛급 핸드에 배팅과 첵이 믹스로 있는 이유라고 할 수 있음. 이 핸드들이 원하는 방향성은 무조건 팟에 돈을 집어 넣는 것임. 하지만, 만약에 모조리 이 핸드들이 배팅을 치는 방향으로 가게 된다면, 우리는 OOP의 공격적인 프로브벳에 대응할 수 없음.
2025.04.18 20:05:51
@새로운참치
감사합니다. 솔버가 아직 뒷 스트리트 익스플로잇은 불가능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