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 예제>1. UTG vs BB Flop : A82r 첵X벳 (33%팟)모든핸드A82는 UTG에게 상당히 좋은 플랍이므로 벳을 많이 하고 싶을 것.솔버가 레인지의 7...

mobilebanner

조회 수 1029

추천 수 6

2025.03.16 13:12:04

<핸드 예제>

1. UTG vs BB

스크린샷스크린샷 

Flop : A82r

스크린샷 

X

벳 (33%팟)

모든핸드

A82는 UTG에게 상당히 좋은 플랍이므로 벳을 많이 하고 싶을 것.

솔버가 레인지의 70~80%로 벳을 한다고 하면 그냥 전체 레인지로 33%팟벳 사이즈로 C벳을 하는 전략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이 레인지벳이다.

이유는 두가지인데

1. 우리는 레인지를 밸런스하면서 80%를 맞춰서 벳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므로 좀 더 단순한 전략을 세운 것. 밸런싱할 필요가 없다.

2. 우리가 전체 레인지로 벳하면 상대방은 균형보다 더 안좋은 카드로 콜하거나, 첵레이즈를 많이 해야하지만 실제로 상대방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오히려 균형보다 오버폴드하고 언더첵레이즈한다.

Q1) 그러면 AA로도 벳을 하나요?

A. 네. AA는 너무 강력해서 사실 첵하고 싶지만 우리의 전략대로 벳을 한다. 우리의 전체 레인지를 생각해야한다.

 

Q2) 레인지 벳 사이즈를 조금 더 키울 수 있나요? 예를 들면 50%팟벳 정도로요.

3bet 팟에서는 50%팟벳 사이즈로 레인지 벳 하는 경우가 있긴 한데 나중에 다룰 것. (직관적으로는 리니어한 레인지로 벳을 하기 때문에 사이즈를 줄이는 것이 당연해 보임. 상대가 첵레이즈를 아주 강한 핸드로만 한다고 가정하면 오프너에게 유리한 보드로 50%팟벳으로 레인지벳을 할 수도 있음.)

 

Q3) 플랍에서 33%팟벳 한 가지의 사이즈만 써야 하나요?

네. 플랍이나 턴에서는 한 가지 사이즈로 벳할 건지 아니면 첵할건지 이지선다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보드에 따라서 벳하는 사이즈가 바뀌는거지 내 핸드에 따라서 바뀌는 것이 아니다.) 리버에서만 두 가지 사이즈를 쓰는 것을 추천한다. 플랍부터 리버까지 두 가지 이상의 사이즈를 쓰면 의사결정이 너무 어려워짐.

턴에서 우리는 첵을 많이 해야한다. (90% 정도) 왜냐하면 이미 플랍에 우리는 균형보다 많이 c벳을 했고 상대방은 오버폴드, 언더첵레이즈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콜 레인지가 상당히 강력함. 그래서 턴에서 폴라된 레인지를 가지고 벳을 해야 한다.

참고로 턴에서 폴라된 레인지로 벳을 하면 다시 리니어한 레인지로 돌아갈 수는 없다. 리버에도 폴라된 레인지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더 많이 폴라될수록 벳사이즈는 커진다.

 

Turn : 4d (투톤보드)

스크린샷

미들핸드

+탑셋 (AA)

벳 (125%팟)

밸류

Set, 2P, TPGK+

블러프

76s, 65s GSD

QJs, QTs 브로드웨이 수딧 (FD 아닌걸로도 벳)

K9s+ FD

플랍에 모든 핸드를 벳했기 때문에 턴에는 첵을 많이 하고, 대신 폴라된 레인지로 사이즈를 크게할 수 있다. 대신 8x 세컨페어까지 폴드 시키는 팟175% 이상의 사이즈보다는 125%가 적당함. 탑페어 이상의 핸드 등의 레인지로 25~30% 정도의 레인지로 벳할 것. (BTN vs BB 였으면 턴 20~25% 정도의 레인지로 오버벳)

보드를 보고 얼마나 넓은 레인지로 벳하고 싶은지를 생각해볼 것. 강한 레인지로만 베팅하고 싶다면 사이즈를 키울 것.

 

왜 오버벳을 해야할까? 플랍에 잃어버렸던 밸류를 복구하기 위해서,

사실 22같은 셋은 플랍에 33%팟벳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전체 레인지 벳을 위해 작게 베팅했기 때문에 그런 강한 핸드는 크게 벳하고 싶기 때문. A8, A2 투페어, 22, 44, 88 셋이나

턴에서 에퀴티가 생긴 KQs KJs KTs QJs 등 브로드웨이 수딧 포쁠이나 65s 등 것샷까지도 블러프 벳, 것샷인 55나 33으로도 블러프 가능. 미들레인지로는 첵.

그리고 플랍에 벳을 하고 싶지 않았던 AA는 첵 (상대의 콜링레인지를 많이 블락)

상대방이 턴 오버벳까지 콜하면 리버에는 블러프를 줄여야 함. 왜냐하면 상대방은 이미 턴에서 오버폴드한 상황이라서 리버에서 균형만큼 블러프를 해서는 안됨.

 

Q1) 플러시 드로우가 없는 QJs 같은걸로 왜 벳하죠?

A) 두가지 이유가 있음.

1. QJ은 상대의 콜링 레인지를 블락함. AQ나 AJ을 블락하고 있기에 상대방이 A를 가질 확률이 더 줄어듦.

2. 플러시 드로우가 있는 QJs KJs 즉 BDFD로만 블러프를 하면 리버에 플러시 보드가 떨어지면 리버에서 블러프할 카드가 아예 없어짐. 턴에서 벳한 모든 핸드가 밸류핸드가 되어버리는 상황이고 이를 빌런이 캐치하면 리버에 플러시 카드가 나왔을 때 빌런이 오버폴드하는 것으로 대응가능함. 따라서 플러시 드로우가 없는, 에어 카드로도 턴 블러프를 해줘야 리버 블러프를 이어나갈 수 있음.

{글쓴이:반대로 모든 FD로 턴에 전부 벳을 해버리면 히어로가 첵했을 때 레인지에 FD가 없어지게 됨. 따라서 QJdd같은 핸드는 턴 밸런싱을 위해서 첵하는 것도 좋은 듯}

 

Q2) 히어로가 BB일 때 빌런이 오버벳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A) 마이크로 스테이크에서는 많은 사람들의 오버벳에는 대부분 블러프가 없음. 따라서 오버폴드하는 것이 좋음.

 

Q3) 턴 오버벳 상대로 첵레이즈 할 수 있나요?

A) 이론상 첵레이즈를 많이 할 수는 없음. 왜냐하면 이미 상대방은 폴라된 레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

{글쓴이:레이즈가 크게 의미가 없음. 어차피 블러프면 계속 콜만 해서 상대가 블러프를 이어가게 만들어도 되고, 넛에 가까우면 무조건 상대방이 레이즈에 콜함}

상대방이 리버에 블러프를 하지 않을 것 같다면 상대방의 오버벳에 22같은 셋으로 콜하는 것은 좋지 않음. 왜냐하면 상대방이 플러시드로우로 오버벳 하고 리버에 안뜨면 첵백하고, 뜨면 돈만 잃을 것이기 때문에 턴에서 패스트플레이하는게 좋음. 그러나 리버에 어그레시브하게 블러프를 하는 플레이어 상대로는 오버벳에 콜만 할 수 있음.

 

스크랩

bookbanner

댓글 수

 

0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글 수

 

1,461

제목

글쓴이날짜
2025-04-22
2025-04-22
2025-04-22
요청하신 페이지 번호는 목록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10,000 페이지 이하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4. Pokergosu.com all rights reserved.

SUPPORT : [email protected]

한국 지역 게시글 중단 요청 : [email protected]

마케팅 대행사 - (주)에브리봇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POKERGO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