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17
추천 수 8
2025.03.11 21:43:03
시리즈 백업본: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7y8TpGpF75j97Wvi-m9YTnfuS-3LszWD?usp=drive_link
이전글에 대해서 수학적인 증명에 대한 의문을 표한 이들이 있기에 간단히만 발췌 번역을 할 생각입니다.
—
ICM과 관련된 기초를 다루면서, 어째서 레이트 레지가 수익성이 있는지를 알아봅시다. 아래의 사진은 1/2/3등이 각각 450/300/150 페이아웃 구조인 9인 싯앤고 입니다.
보시다시피, 레이크를 배제한 토이 게임의 시작에선, 9인 전부 토너먼트 에퀴티가 100점입니다.
만일, 한명이 프리플랍 올인을 해버리고 한명이 광탈한 흔하디 흔한 마이크로 토너의 모습을 보게 됐다고 칩시다. 아래가 그 후에 남은 8인의 에퀴티입니다.
올인에서 승리한 플레이어는 가진 칩의 개수를 두배로 늘렸지만, 에퀴티가 두배로 늘어나지 않았습니다. 100점 만큼의 에퀴티를 걸었지만, 그 대가로 받은 에퀴티는 83.33밖에 안됩니다. 남은 16.67점의 에퀴티는 필드 전체가 나눠 받았습니다. 이것이 ICM의 가장 근원적이자 불가변의 법칙입니다 - 받는 에퀴티보다 걸게 될 에퀴티가 더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토너먼트에서 올인 콜 레인지가 캐쉬보다 좀 더 타이트합니다. 탈락의 위험을 감수하려면 핸드의 세기가 더 세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이걸 통해서 알게 될 수 있는 것이, 토너먼트에서는 폴드를 통해서 점수를 따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안함으로써, 남은 7인의 에퀴티는 2.38 퍼센트 늘어났습니다. 물론, 파이널 테이블 등과 같은 상황에서 사람 한 명이 탈락할 때마다 페이 점프를 받게 되는 "래더링"과 같이 극단적이면서도 피부로 와닿는 예시들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토너먼트 시작에도 그와 유사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레이트 레지는 아무것도 안함으로써 이득을 볼 수 있는 토너먼트의 허점을 이용한 꼼수입니다.
만일 폴드만 해서 에퀴티를 챙길 수가 있다면, 좀 더 나아가 생각해보면 그냥 테이블에 일정 시간동안 부재하면 에퀴티를 더욱 챙길 수가 있다는걸 깨닫게 됩니다. 레이트 레지를 하면, 머니인 구간에 좀 더 근접해서 플레이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레이트 레지의 이점을 보여줄 또 하나의 예시를 들어보죠. 위 싯앤고에서 4명이 탈락을 했으며, 당신이 이 싯앤고에 레이트 레지를 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이것이 당신이 레이트 레지를 하기 전의 스택 사이즈, 그리고 에퀴티입니다.
근데 만일 히어로가 후발주자로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요?
토너 페이아웃이 늘어납니다. 뿐만 아니라, 스타팅 스택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에퀴티는 110.90점입니다. 단지 레이트 레지를 하기만 했는데도, 10.90점을 벌었고, 이건 ROI가 10.90 퍼센트가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토너에서 "고수" 그리고 "크러셔"의 ROI 차이가 20% VS 30%라는걸 생각하면, 이 불합리함을 이해하기가 좀 더 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더군다나 빅스택을 제외한 모두의 에퀴티가 레이트 레지 이후에 내려갔습니다. 당신이 늦게 게임을 참여해서 에퀴티를 더 가져갔듯이, 다른 플레이어들은 얼리 레지를 했기 때문에 손해를 본것입니다.
참고로 이것은 머니인 구간에서 페이 점프가 존재하는 예시일 뿐입니다. 머니인 구간 후에 페이아웃이 완전히 동일한 새틀라이트로 위 예시를 바꾸게 된다면, 레이트 레지를 하기만 해도 에퀴티의 30% 가량 상승을 보게 됩니다.
—
이런 식으로 극단적으로 표현하게 된다면 당연해지는 부분이지만, 이것과 유사한 법칙을 MTT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 요지입니다.
안타깝게도 MTT 기준으로 설명하는 글(Theoretical Breakthroughs in ICM 등)은 수학 수식은 많은데 토너먼트를 입문하고 위닝을 하는데에는 사실상 아무런 도움이 안되는 글들입니다. 장담컨대, 변태라도 되시지 않는 이상 그런거 읽어서 시간 잘 보냈다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것입니다.(제가 그 변태입니다…)
그것을 좀 더 상세하게 다루는 글들은 여기 있긴 합니다.
https://blog.gtowizard.com/theoretical-breakthroughs-in-icm/
https://blog.gtowizard.com/revolutionizing-mtts-the-ultimate-icm-solver-upgrade/
---
공구 게시판 보면 공구 있어요. 그거 4명만 더 참여하면 바로 번역 진행 가능해요. 제가 질문도 다 친절하게 답변드릴꺼에요. 제발 참여해주세요 엉엉
스크랩
댓글 수
19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5.03.11 22:14:54
숫자가 많아서 머리 아프지만 일단 추천!
2025.03.12 00:02:00
아직 캐시밖에 안하지만 나중에 토너 시작하면 볼게요~ㅊㅊ
2025.03.12 00:06:55
@엘루시도
1편부터 보셈 가능하면
2025.03.12 17:15:14
개추
2025.03.12 17:18:40
@핫남자
수학글 개추해줘서 고맙다 이런거는 번번히 개추 거의 못받아서
2025.03.12 17:24:04
@위휀
이런글이 더 수치로 와닿고 재밌어서 ㅋ.ㅋ
2025.03.13 15:28:04
여기서의 에퀴티 라는게 망고 파테에서의 icm value와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되는건가?
2025.03.13 15:31:41
@Lierra
망고가 ICM value를 대놓고 파테에서 알려줌??? 아마도 맞을건데 다소 신기하네
아마도 근삿값으로는 맞을거라는게 내 추측인데 내가 망고를 전문으로 안 다뤄서 몰?루
2025.03.13 15:33:03
@위휀
계산식은 안 나오지만 남은 프라이즈, 플레이어, 칩스에 따라 값이 나오던데
딜 메이킹을 하면 저 수치대로 프라이즈 맞춰줌
2025.03.13 15:34:08
@Lierra
ㅅㅂ 신기하네... 일단 응, 대충 칩스택의 ICM 밸류를 그냥 알려주는거 맞아
파테라면 계산이 쉬워지니까 그냥 알려주는건가? 도파민 충족용 겸 프로들 활용하거나 딜메이킹 할 때 참고하라고?
2025.03.13 15:36:08
@위휀
ㅁㄹ? 나는 숏스택이 되더라도 프라이즈대비 icm밸류가 넘 높으면 푸시 차트를 더 좁게 가져가서 머니점프를 노리긴 함
2025.03.13 15:36:57
@Lierra
일단 글 연재하고 공구에서도 파테 래더링 엄청 다룰거긴 해
2025.03.13 15:39:06
@위휀
항상 좋은글 잘 읽고 있음
2025.03.13 19:13:31
레이트 레지하면 좋다는 건 알고 있었어도 얼마나 이득인지는 몰랐는데 알게 됐네 고맙다! 개추
2025.03.13 19:14:58
@니트할아버지
이딴 불합리한 시스템이 왜 있는지는 아직도 모르겠지만 바웆티 토너 밀어대는거 봐서는 웹사이트들도 슬슬 이런거를 지양하려는거 같긴 해
빨리 꿀통 빨아서 우승해라
2025.03.13 19:16:05
@위휀
근데 공구는 정확히 어떤건가요 위휀으로 검색해도 안나오는데
2025.03.13 19:16:39
@니트할아버지
이거다
https://www.pokergosu.com/groupbuy/326
2025.03.13 20:14:09
@위휀
한 6만원이면 스냅콜인데 일단 고민 좀 해보겠슴 ㄱㅅ
2025.03.13 20:42:15
@니트할아버지
고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