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저장용입니다.
스크립트 추출 AI와 chatGPT를 이용하여 번역했습니다.
--------------------------------
I. 전략 (Strategy)
1. 탄탄한 기본기 (Fundamentals)
핵심 수학/개념 이해
큰 베팅에는 더 좁게 콜해도 무방, 내가 크게 베팅하면 블러프 빈도도 증가 등
상대 레인지, 보드 텍스처, SPR 등을 기반으로 논리적으로 대응
GTO와 익스플로잇의 병행
GTO 솔루션은 결국 상호 익스플로잇 시뮬레이션의 결과물
동전의 양면처럼 GTO와 익스플로잇을 함께 이해해야 함
레인지 기반 사고
단일 핸드가 아니라, 프리플랍부터 리버까지 전체 핸드 범위를 추적
액션에 따라 상대 레인지를 업데이트
2. 적응(Adapt)과 적극적인 익스플로잇
동적 환경에서의 변화
포커 메타가 빠르게 바뀌므로, 고정된 pseudo-GTO(유사 GTO) 전략만 고수하면 뒤처지기 쉬움
상대의 실수 찾아 착취하기
니트(nit) vs 매니악(maniac)에게 동일 전략으로 대응하면 손해
노드락(node-locking) 등 솔버 고급 기능을 활용해 상대의 빈틈을 공략
“Play the player, not just the spot.”
같은 보드/스팟이라도, 상대 성향에 따라 최적 해답이 달라진다는 점 인지
3. 힘든 결정을 회피하지 말기
High-Pressure Spots
예) 3벳 팟에서 세컨드 배럴을 맞을 때 콤보 드로우를 포기하는 식으로, 복잡한 상황을 피하지 말 것
불편함은 성장의 증거가 될 수 있음
전략적 선택 vs 두려움 기반 선택
“이 스팟이 EV가 낮아서” 회피하는 것과 “겁이 나서” 회피하는 것은 다름
후자라면 실력 향상의 기회를 스스로 막고 있는 셈
4. 오토파일럿(Autopilot)에서 벗어나기
자동 플레이의 문제
한 번 익힌 전략을 그대로 반복, 중요한 스팟도 대충 처리 → 잘못된 패턴 고착
선택적 집중
빈도 낮고 EV도 낮은 평범한 스팟에서는 빠르게 플레이해도 되지만,
고위험·고보상 스팟에서는 속도를 늦추고 심도 있게 결정
핸드 마킹 & 복습
세션 중 문제되는 핸드를 표시해 두고, 이후에 솔버나 토론을 통해 분석
II. 공부 (Study)
1. “왜(Why)”를 먼저 묻기
단순 암기의 한계
솔버가 “이 스팟에서 X% 베팅”이라고 해도, 이유(원리)를 모르면 실전에 적용 어려움
인풋(Output) vs 아웃풋(Output)의 관계
상대 레인지, 베팅 크기, 레이크 등 인풋을 바꿔보며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
원인(인풋)-결과(아웃풋) 매핑을 통해 “뇌속 솔버”를 구축
2. 공부를 게임화(Gamify)
지루함 극복
드릴(특정 스팟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학습 방식)·연습에 지치지 않도록, 친구들과 경쟁하거나 목표 설정
GTO Wizard 같은 학습 툴을 활용하되, 스트레스가 아닌 ‘게임’처럼 접근
지속 가능성
과도한 학습 루틴(“매일 몇백 개의 드릴 + 복습 2시간” 등)은 장기적 실천이 어려움
본인이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방식을 찾는 것이 핵심
3. 엣지(Edge)에 투자
코칭·툴·자료
장기적으로 많은 핸드를 칠 예정이라면, 코치나 전문 솔버(예 : GTO Wizard) 구독 등은 EV 투자로 매우 유리
공짜 자료와 체계적 자료
무료 동영상·블로그도 많지만, 체계적이고 일관된 교육이 필요할 때는 비용 지출을 고려할 가치가 큼
우선순위 높은 스팟부터 공략
빈도와 팟 크기가 큰 상황(버튼 vs BB, 3벳 팟, 등)을 먼저 학습
학습 효율을 높이려면 스프레드시트 등으로 어떤 스팟이 더 중요도 높은지 정리
4. EV 창출 과정을 확인
핸드별 EV가 아니라, 라인(Line)별 EV
이 핸드가 플랍→턴→리버를 어떻게 거치면서 돈을 벌어들이는지 파악
현실적이지 않은(상대가 절대 안 할) 액션이 솔버 시뮬에 포함되어 있다면, 노드락으로 교정
과정(과정) = 결과(결과)를 만든다
“이 핸드는 리버에서 어떻게 이익을 내는가?”를 이해해야 실전에서 필요한 조정 가능
III. 멘탈 (Mindset)
1. 통제 가능한 목표 설정
결과 대신 ‘실행(Execution)’
포커는 운의 영향이 크므로, 단기적 승패에 일희일비하지 말고 “내가 최선의 결정을 내렸는가”에 집중
장기적 EV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면 멘탈이 흔들리지 않음
2. 틸트 & 감정 관리
누구나 틸트한다
문제는 ‘얼마나 빨리 알아차리고 회복하는가’
감정 억누르지 말기
“내가 화가 났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고, 처리하고, 흘려보내는 편이 더 건설적
억누르면 뭉치면서 나중에 더 크게 폭발할 수 있음
3. 라이프스타일 개선
뇌가 플레이어의 가장 중요한 자산
수면·영양·운동 부족 → 의사결정력 저하 → 장기전에서 매우 불리
에너지 관리 vs 시간 관리
긴 시간 집중해야 하는 체스·e스포츠 등과 마찬가지로, 에너지를 잘 분배해야 질 좋은 의사결정을 유지
4. 에고(Ego)와 자만 심리
포커는 자만을 처벌하는 게임
“나는 당연히 이길 자격이 있다” 식의 사고는 결국 악수
객관성 유지가 곧 EV 유지
자만심이 아니라, “지금 이 스팟에서 최선인가?”라는 질문을 스스로 끊임없이 던져야 함
종합 요약
전략:
탄탄한 기본기에 기반해,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조정하고 상대 실수를 착취.
중요한 스팟에서 오토파일럿을 끄고 심도 있는 의사결정.
공부:
“왜”를 파악해 원리 중심 학습 → 다양한 상황에 응용.
게임화된 학습, 우선순위 높은 스팟부터 공략, 코치/도구에 적극 투자.
멘탈:
단기 운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 EV 극대화에 집중.
틸트·감정 관리로 안정적 플레이 유지, 건강한 생활습관으로 두뇌 컨디션 최적화.
2025.03.02 16:21:55
좋은글 bb
2025.03.23 09:23:21
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