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OP(블라인드)에서의 콜드콜을 살펴보자
우선 GTO상 SB에서의 콜드콜은 그냥 없다고 생각해도 된다.
포스트플랍에서 확정적으로 가장 먼저 액션하게 되며 BB도 더 넓게 팟에 참여하게 된다.
높은 SPR에 멀티웨이, 전부 OOP입장에서 재앙적인 것들이며 SPR을 낮추고 헤즈업 혹은 즉시 팟을 이기기 위해 3-bet을 해야하며 3-bet할 수 없는 핸드로는 폴드해야 한다.
1%미만의 빈도로 콜드콜이 있긴 한데 이걸 인간이 정확하게 흉내내기도 힘들 뿐더러 이 전략을 수행함으로서 얻게되는 Ev도 굉장희 미미하다.
BB디펜스
'상대가 루즈하다고 해서 더 넓게 방어해도 된다는 착각'
NLH에서 흔히 '상대가 루즈하게 플레이 하며 그에 맞춰 우리의 방어 레인지도 넓어져야 한다' 는 상식을 가지고 PLO에서도 이에 맞춰 루즈한 상대를 상대로 더 넓게 방어를 하는 실수를 한다. PLO에서 IP가 가지는 유리함, OOP가 가지는 불리함은 NLH에서 보다 훨씬 크게 작용한다.
'상대의 레인지를 생각하자. 상대에 따라 디펜스 하는 레인지가 달라진다'
NLH에서는 '50%레인지로 방어한다' 라고 하면 상위에 3-bet하는 레인지 밑으로 강한것 부터 약한것 사이에 50%의 레인지를 디펜스 한다고 많은 플레이어들이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이렇게 플레이해도 PLO에 비하면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PLO에서는 상대의 레인지에 따라 디펜스 하는 핸드 설렉이 달라진다.
여기 VPIP 15정도 되는 씹니트 플레이어가 EP에서 오픈을 한 상황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플레이어의 레인지는 많은 프리미엄 파켓 수딧, A high런다운, K high 런다운, Q high 런다운, 브로드웨이 더블페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이때 우리 손에 있는 핸드가 AT98ss 이라고 가정 했을때 이는 오마하에서 굉장히 강한 핸드이지만 저 니트한 플레이어의 EP오픈 레인지를 상대로 도미네잇 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하지만 7654ss은 어떨까? 7654ss은 EP플레이어의 오픈 레인지와 거의 무관하면서 런다운인 핸드이다. 플러쉬 드로우가 도미네잇 되어 있을 수는 있지만 스트레이트 드로우나 투페어는 거의 도미네잇 되어 있지 않을 것이다. 이렇듯 상대가 타이트하다면 AT98ss 보다 7654ss이 직관적인 핸드 세기와 별계로 더 많은 EV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상대가 루즈한 상대라면 오히려 7654ss이 도미네잇 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EP에서 T976ss, K986ss 등을 오픈 하는 상대라면 투페어나 스트레이트를 완성해도 상대에게 좋은 리드로우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때 루즈한 상대를 상대할때는 높은 런다운의 핸드가 더 높은 Ev를 가져온다.
위의 표는 포지션별 RFI와 그에 대응하는 블라인드 포지션의 GTO적 3-bet, 콜드콜 빈도이다. 포지션 보단 옆에 있는 RFI수치에 주목하자. 상대가 EP에 있다고 해서 저 수치대로 오픈을
하는 것이 아니며 저것보다 훨씬 많은(예를 들어 30%)빈도로 오픈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때 EP에서 오픈을 했더라도 CO를 상대하는 레인지로 방어를 하는등 조정을 해줄 수 있다.
그리고 재미있는 점은 BB에서 플레이 되는 빈도(콜드콜+3-bet)가상대하는 포지션의 RFI와 거의 유사하다는 것이다. CO와 BU를 상대로는 1BB를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상대의 오픈보다 더 타이트하게 방어해야 하는것을 볼 수 있다.
결론 : PLO SRP에서는 상대의 오픈레인지와 거의 유사하게 방어를 하되 얼리포지션을 상대로는 아주 살짝 와이드하게 레잇 포지션을 상대로는 아주 살짝 타이트하게 방어하자
2025.02.25 00:46:46
강의를 그대로 요약을 하긴 했는데 왜 CO랑 BU를 상대로 1BB를 포스팅 해 놨는데 플레이 되는 레인지를 더 타이트하게 가져가야 되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강의에서도 그냥 그렇다고만 하고 설명을 따로 안해줘서... 혹시 이유를 알고 계신 고수 형님 계시면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5.02.25 01:47:43
@Tanz
본문의 '상대가 루즈하다고 해서 더 넓게 방어해도 된다는 착각' 이 문구가 힌트인듯요~!
빅블에서 얼리포지션 상대로는 상대의 rfi보다 비슷하거나 넓게 방어하지만
루즈한 CO BU 상대로는 상대의 rfi보다 타이트하게 하는게 좋다 이런뜻~
왜냐면 이것도 본문에 나와있듯이 홀덤보다 오마하가 포지션이 중요하고 레인지 비교해서 전략짜는게 중요하다고 써있네요~
2025.02.25 03:19:04
@고래
근데 그렇게 치면 어차피 OOP에서 플레이 하는건 똑같은데 EP랑 MP상대로는 조금더 넓게 방어하는게 설명이 안되는데요....
2025.02.26 14:37:01
그래서 오마하 총핸드의 가지수가 몇개되는데요?
20퍼 안에드는 핸드는 몇가지고
10퍼안에는드는 핸드수는 몇가진가?
지금 내가 가진핸드가 상위 몇프로인지 아는게 더중요할거같은데요.
2025.02.27 22:50:55
@러브홀린
오마하 총 핸드 수는 단순 조합으로 6백만개가 넘어서 몇가지로 설명하는건 불가능하고 핸드 카테고리로 나눠서 봐야하구요.
카테고리 분류는 앞에 포지션 별 RFI편에서 했기때문에 여기서는 굳이 적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