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812
추천 수 29
2025.02.20 11:51:20
기사 시리즈 정리, 백업본: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7y8TpGpF75j97Wvi-m9YTnfuS-3LszWD?usp=drive_link
제가 기사 시리즈를 다 정리하고, 다 읽으신 다음에, 그다음에 대회를 뛰시면 더할 나위가 없이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 당장 대회를 뛰어야 되는 당신을 위해서라면 너무 늦지요.
그래서 제가 일부러 위자드 기사 중에서 토너먼트 전략의 가장 기초적인 휴리스틱Heuristic, 즉 "행동강령"을 정리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
원문, 출처: https://blog.gtowizard.com/icm-basics/#how_leverage
---
1. 캐쉬 게임보다 올인을 경계하셔야 합니다. 좀 더 타이트한 레인지로 올인을 하도록 하세요.
2. "애매한" 스팟들은 가능한 피하세요. 캐쉬 게임에서는 0EV인 스팟은 토너에서는 -EV일 확률이 다분히 높습니다.
3. 스택 사이즈가 필드 내에서 중간이실 때, 빅 스택과 숏 스택보다 더 조심스럽게 운영을 해야만 합니다.
4. 빅 스택들은 숏 스택에게 강력한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을 압박하는데 필요한 기회비용이 더 낮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특히 입상 직전, 파이널 테이블 진입 직전에서 가장 유효합니다.
5. 칩을 모으는 것은 칩을 잃는 것보다 덜 중요합니다.
6. 입상 점수를 유심히 살펴보세요.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페이 점프Pay Jump는 리스크 프리미엄Risk Premium, 즉 핸드를 조심스럽게 플레이 하셔야 하는 정도를 더더욱 높입니다.
7. 숏 스택이 탈락을 할 시점, 그리고 그 숏 스택이 탈락해서 페이 점프가 발생하게 되는 시점에서는, 빅 스택들을 제외한 모두가 수동적으로 플레이 하는것이 맞습니다.
---
번외: 기사 전체를 번역을 안한 이유는, 첫째로는 대부분이 별달리 유용하지 않은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둘째로는 대부분의 개념이 좀 더 고급 형태로 후에 풀어낼 것이기 때문입니다. 셋째로는 이미 첫 기사에서 대부분 다 다룬 내용들이거나 개념이라서 그렇습니다. 물론 본 기사처럼 숫자, 수식 등은 없지만, 전 가능하면 그정도 수준의 미시적인 원리로 글을 채우기 보다는 여러분들이 사용하실 수 있는 정보로 채울 수 있으면 좋을거 같습니다.
스크랩
댓글 수
15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5.02.20 12:02:44
굿
2025.02.20 12:28:13
최근 밴시비형님의 20bb정도의 칩으로 적극적으로 빅스택들을 노려서 칩업후 빠테 딥런 하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진짜 그"중간"이 이럴다할 정답이 없어서 힘든거같음
2025.02.20 12:34:47
@장기펄
결국 혐영으로 귀결되기 시작해서 내가 레이트 레지를 그렇게 싫어하는거임
2025.02.20 17:02:13
5번을 모르는 빅스택들이 너무 많음
2025.02.20 17:51:41
@GNP
자살임. 그걸 망각한 빅스택들은 그냥 시한부일 뿐임.
2025.02.20 20:00:03
갇즈으아ㅏ
2025.02.20 21:58:16
2025.02.20 23:34:23
진짜 존나 유익한 분이세요 항상 감사합니다
2025.02.21 00:41:06
진짜 너무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2025.02.21 20:04:18
누나 이번지마 일등하면. 누나덕이다
2025.02.23 21:56:41
잘 읽었습니다!! 고마워요!!
2025.02.26 11:45:59
나 형 글 마려워 더 줘..
2025.02.26 11:53:42
@가보쟝
더 나올거임
2025.02.26 14:06:08
너무 좋은글이다. 시간되실때마다 많이 작성 부탁드립니다.
2025.02.26 14:07:33
@피자치킨
일단 산책하고 삘 보고 오늘 내지는 내일 무조건 하나 더 나옴. 이론글이긴 한데, 왜 그 이론이 중요한지에 대한 당위성을 설명하는 2개의 글 중 하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