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O를 플레이할 때 뱅크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NLH이랑 비슷하게 잡고 가면 되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여기 우리 주변에 있을법한 사례들을 보자.Player A"지금 나...

mobilebanner

조회 수 698

추천 수 8

2025.02.13 18:17:30

PLO를 플레이할 때 뱅크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NLH이랑 비슷하게 잡고 가면 되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이 많다.

여기 우리 주변에 있을법한 사례들을 보자.

Player A

"지금 나 1000$ 가지고 있는데 20BI으로 50방 가면 됨?"

Player B

"나 5방에서 만핸드 쳤는데 BB/100 10 나오고 뱅크는 200$ 있어. 블업 해도 되겠지?"

Player C

"나 얼마전에 25방으로 블업 했는데 하자마자 다운스윙 15BI 처맞음... 블다 해야하나?"

Player D

"나 20일동안 10만핸드 쳤는데 브레이크 이븐이네... 아직 이 스테이크는 못이기나...?"

Player E

"나 공구도 열심히 보고 핸드리뷰도 개같이 하고 있는데 그래프가 자꾸 떨어짐..."

전부 주변에서(혹은 포고에서)한번 씩 봤을 법한 질문이다.

이제 PLO에서 베리언스가 얼마나 크게 작용하는지 Primedope의 Variance Calculator를 사용해 알아보자

image.webp

위 그래프는 BB/100 3에 표준편차를 PLO 6-max의 평균값인 140으로 놓고 1000핸드를 플레이했을때 그래프이다.

최고의 경우 +13BI 최악의 경우에 -14BI까지 내려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까 블업하자 마자 15BI 다운스윙 맞았다고 블라인드 내려야 하나 고민한 사례를 기억하는가?

BB/100 3 으로 장기적인 위닝을 할 수 있는 플레이어라도 겨우 1000핸드 동안 14BI의 다운스윙을 맞을 수 있다.

이 때 파산확률을 5% 미만으로 가지게 하는 뱅크로 매니지먼트는 약 100BI 이며

1000핸드 이후에 손실을 보고 있을 확률을 47% 이다.

image.webp

하지만 BB/100 을 5까지 끌어올릴다면 파산확률을 5% 미만으로 만드는 뱅크롤 매니지먼트는 약 60BI으로

겨우 BB/100 2를 올리는 것 만으로 기하급수적으로 필요한 BI이 줄어든다.

image.webp

이렇듯 앞서 살펴본 플레이어 A, B, C, D, E 모두 오마하의 배리언스를 과소평가 하고 있으며 오마하의 배리언스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항상 더 굉장하다.

이제 배리언스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여기 두 플레이어가 있다.

Player 1

- 하루에 5시간/한 달 25일 플레이

- 레귤러 테이블 4테이블을 플레이 함(400hands/H)테이블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관찰하고(폴드 한 이후의 액션도 관찰) 큰 팟을 지거나 배드빗을 맞았을때 맨탈을 회복할 여유가 있음

- 윈레이트는 10bb/100

image.webp 

Player 2

- 하루에 5시간/ 한 달 25일 플레이

- 레귤러 테이블 8테이블을 플레이 함(800hands/H)테이블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을 관찰하기 힘들고 오토파일럿 액션을 많이 함, 큰 팟을 지거나 배드빗을 맞아도 다른 테이블의 액션이 있기 때문에 감정을 추스릴 여유가 없음

- 윈레이트는 5bb/100

image.webp 

 여기서 두 플레이어의 한 달 플레이 시간은 125시간, 수익 기댓값은 5000BB로 정확하게 같다.

하지만 윈레이트를 높이고 테이블 수를 줄인 플레이어 1이 한달 뒤에 손실을 보고 있을 확률은 5.5%인 반면 볼륨을 높이고 윈래이트를 낮춘 플레이어 2가 한달 뒤에 손실을 보고 있을 확률을 12.9%로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또한 플레이어 1이 파산 확률 5%미만의 뱅크롤 매니지먼트를 하기 위해서 29BI이 필요한 반면에 플레이어 2가 파산 확률 5%미만의 뱅크롤 매니지맨트를 하기 위해서는 약 59BI이 필요하다.

많을 레귤러들이 배리언스를 압도적인 볼륨과 레이크백으로 찍어누르겠다는 생각으로 너무 많은 테이블을 돌리고 또 너무 많은 시간동안 세션을 하느라 A게임을 하지 못하고 B, C, D게임을 하며 핸드 수를 늘리고 윈레이트를 갉아먹는다. 하지만 사실 배리언스를 극복하는 방법은 핸드 수를 줄이는 대신에 게임의 퀄리티를 높여 윈레이트를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게임 퀄리티를 높인다는 것은 상대를 관찰하고 익스플로잇 적인 라인에 대해 고민하며 플레이 한다는 것으로 오토파이럿 액션을 하는 플레이어에 비해 앞으로 스킬 향상의 여지도 더 많다. (이건 홀덤도 똑같은 것 같음)

(위 영상은 적정 볼륨이 어느정도인지 제가 고민할때 참고한 영상입니다. 참고 할만 한 것 같아서 첨부합니다.)

그래서 몇 BI 들고 쳐야 되는데?

강사는 100BI으로 움직이는 것을 추천한다.

50BI정도의 뱅크롤로 운영을 할때 10방(500$)에서 25BI의 다운스윙을 맞으면 블라인드를 내려야 하는데 앞서 살펴보았듯 장기적인 위닝플레이어도 꽤 높은 확률로 25BI의 다운스윙 정도는 맞을 수 있다. 이는 자기가 정말 이 스테이크에서 위닝플레이인가? 아님 루징플레이어인가? 를 가늠도 하기 전에 블라인드 다운 혹은 업을 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물론 이전에 플레이 해본 스테이크에서 위닝플레이어 라는 확신이 있다면 좀 더 낮은 뱅크롤로 플레이해도 되지만 처음 플레이하는 블라인드라면 100BI을 추천하고 있다.

마무리하며

배리언스는 항상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그 어떤 위닝플레이어도 다운스윙 구간을 맞닥뜰이면 두렵고 자신의 게임을 의심하게 된다.

그럴때 자신의 그 감정을 인지하고 PrimeDope에서 그래프 가지고 놀면서 충분히 있을 수 있다고 확인하고 주변에 포커 커뮤니티가 있다면 공유하고 핸드 리뷰를 하면서 게임에 대한 확신을 가지자.

스크랩

댓글 수

 

4

2025.02.13 20:22:33

2025.02.17 02:46:02

@포고응원단장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글 수

 

1,456

제목

글쓴이날짜
2025-03-22
2025-03-22
2025-03-22
요청하신 페이지 번호는 목록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10,000 페이지 이하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4. Pokergosu.com all rights reserved.

SUPPORT : [email protected]

한국 지역 게시글 중단 요청 : [email protected]

마케팅 대행사 - (주)에브리봇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POKERGO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