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upwingpoker.com플랍에서 탑 페어를 맞췄을 때 매번 컨티뉴에이션 베팅을 하면 상대에게 공략당하기 쉬워집니다.모든 상위 플레이어는 체크 레인지를 보호하기 위해 특...

mobilebanner

조회 수 1997

추천 수 4

2025.01.13 11:44:21

[출처] upwingpoker.com

플랍에서 탑 페어를 맞췄을 때 매번 컨티뉴에이션 베팅을 하면 상대에게 공략당하기 쉬워집니다.

모든 상위 플레이어는 체크 레인지를 보호하기 위해 특정 상황에서는 탑 페어를 체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오늘 다룰 주제는 바로 이러한 상황들입니다.

-단일 레이즈 팟과 베팅 크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

-인 포지션(In Position) 예시 (버튼 대 빅 블라인드)

IP 예시 #1: Ah Td 9s

IP 예시 #2: Ts 8h 6d

-아웃 오브 포지션(Out of Position) 예시

OOP 예시 #1: Ts 7h 5d

OOP 예시 #2: Ts 8h 6d

단일 레이즈 팟과 베팅 크기에 대한 간단한 설명

탑 페어를 체크해야 할 많은 상황은 단일 레이즈 팟(single raised pots)에서 발생합니다.

단일 레이즈 팟에서는 스택 대 팟 비율(Stack-to-Pot Ratio, SPR)이 너무 높아서 많은 탑 페어 핸드로 3번의 벨류 베팅(3 streets of value)을 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탑 페어에 대해 다음 3가지 전략 중 어떤 것이 가장 적합한지 고려해야 합니다:

1. 3번 베팅하여 가치 실현

2. 플랍에서 컨티뉴에이션 베팅(C-bet) 후 턴에서 더블 배럴(double barrel), 리버에서 체크

3. 플랍에서 체크백(Check back), 턴에서 딜레이드 C-bet(delay c-bet), 리버에서 배럴

그럼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인 포지션 예시 (버튼 대 빅 블라인드)

첫 번째 두 가지 예시는 버튼(프리플랍에서 레이즈한 플레이어)과 빅 블라인드(프리플랍에서 콜한 플레이어) 간의 인 포지션 플레이를 다룹니다. 이제 두 가지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여러 플랍 상황을 솔버에 입력해보겠습니다:

솔버가 체크백을 선호하는 탑 페어는 어떤 것인가?

솔버는 탑 페어를 얼마나 자주 체크백하는가?

IP 예시 #1: Ah Td 9s

이 플랍에서 솔버가 선호하는 베팅 크기는 팟의 75%입니다.

a.webp 

가장 강한 킥커를 가진 경우(AK-AJ)에는 컨티뉴에이션 베팅(C-bet)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이러한 핸드들은 가장 높은 베팅 빈도를 보입니다. 반면, 낮은 킥커의 경우에는 명확한 패턴이 없으며, 솔버는 이러한 핸드들에 대해 33%에서 55% 사이의 빈도로 베팅합니다. 전체적으로, 솔버는 가능한 102개의 탑 페어 조합 중 57개에 대해 컨티뉴에이션 베팅을 합니다.

솔버의 접근 방식을 확인했으니, 이제 A-T-9 플랍에서 탑 페어를 실제로 어떻게 플레이할지 이야기해 봅시다.

방법 1: 솔버 빈도를 모방하기

한 가지 방법은 각 탑 페어에 대해 랜덤화를 사용하여 솔버의 빈도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따른다면 AKo는 84%, AJo는 65%, A6s는 33%의 빈도로 베팅하려고 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빈도를 암기하고 실행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방법 2: 휴리스틱 사용

더 자연스러운 접근 방식은 솔버와 비슷한 수의 탑 페어 조합(57개)에 대해 컨티뉴에이션 베팅을 하는 몇 가지 휴리스틱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그런 휴리스틱의 예입니다:

상위 5개의 킥커(AK에서 A7까지)에 대해 C-bet하기 (총 60개 조합)

상위 3개의 킥커와 백도어 플러시 드로우를 가진 낮은 탑 페어 조합에 대해 C-bet하기 (총 50개 조합)

핵심은 전체적인 빈도를 대략적으로 맞추는 것입니다.

IP 예시 #2: Ts 8h 6d

이 플랍에서는 탑 페어가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므로, 솔버가 이러한 핸드에 대해 더 자주 컨티뉴에이션 베팅(C-bet)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상대의 범위에는 베팅에 콜할 충분한 에퀴티를 가진 핸드들이 더 많습니다.

실제로 그런지 살펴봅시다. 지난 플랍과 마찬가지로, 솔버는 큰 사이즈(팟의 75%)로 베팅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아래는 솔버가 각각의 탑 페어를 플레이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b.webp

솔버는 이 플랍에서 훨씬 더 높은 빈도로 C-bet을 합니다. 상대가 탑 페어보다 약한 수많은 핸드로 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즉시 벨류를 추구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솔버는 가능한 63개의 탑 페어 조합 중 45.4개(약 72%)에 대해 베팅을 승인합니다.

모든 탑 페어는 최소 70% 이상의 빈도로 베팅 범위에 포함되지만, 두 가지 예외(QTo와 JTo)가 있습니다. 솔버가 QTo와 JTo를 체크하는 이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이는 해당 핸드가 J9/Q9와 같은 상대의 드로우를 완성하는 카드에서 투페어를 만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QTs/JTs는 백도어 플러시 드로우 가능성 덕분에 더 자주 베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략 구축 방법

-랜덤화 접근: 솔버와 같이 모든 탑 페어에 대해 빈도를 맞추려 시도

-휴리스틱 사용: 모든 슈티드 탑 페어에 대해 베팅하고 QTo/JTo/T9o는 절반의 빈도로 체크

-맞춤 전략 개발: 스스로 빈도를 조정해보는 방법

중요한 점은 이 경우 72%라는 적정 빈도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아웃 오브 포지션(OOP) 예시

프리플랍 레이저로서 아웃 오브 포지션에서 플레이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게임입니다. 체크-레이즈(check-raise)를 포함한 전략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게임 트리가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예시 #1: Ts 7h 5d

프리플랍 액션: 미들 포지션(하이잭)에서 레이즈, 버튼 플레이어가 콜

이 상황은 비교적 단순하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콜 플레이어는 대부분의 보드에서 비교적 좁은 범위를 가지므로, 프리플랍 레이저인 당신이 오버페어를 가질 수 있는 반면, 그는 이를 가질 수 없습니다. 하지만 상대는 더 높은 집중도의 넛 핸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상쇄합니다.

(번역자: 더 높은 집중도의 넛핸드란? => 상대는 콜로 As,Ks,Qs등등의 상위 핸드를 가질 수 없지만, 7s,5s 및 투페어 등을 핸드 레인지에 가질 수 있고, 상위 핸드가 레인지에 줄어들음으로써 전체레인지의 핸드 콤보수가 적다. 즉, 7s,5s 및 투페어등의 콤보 수는 오프너랑 콜러가 가질 수 있는 양은 같지만, 콜러의 전체 레인지 콤보수가 적어짐으로써 넛핸드 레인지/ 전체 레인지의 비율을 따졌을 때 콜러가 더 높은 집중도의 넛핸드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But, 실제로는 루즈하게 수딧 등으로 다 콜만 따는 사람들은 상위핸드가 빠지더라도 레인지가 별로 안 좁겠죠? EP상대로 콜만 따는 IP GTO레인지를 상대한다고 가정하고 말하는 거 같습니다.)

포지션적 불리함과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면, 훨씬 더 수비적인 전략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체크 레인지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탑 페어 핸드로 체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Ts 7h 5d 플랍 세부사항

베팅 크기: 솔버는 팟의 33% 크기를 최적의 베팅 사이즈로 계산

OOP에서 높은 스택-팟 비율로 인해 넛 우위를 가지지 못할 때는 작은 베팅 크기가 적합합니다. 작은 베팅은 팟 크기를 작게 유지하거나 상대가 레이즈를 통해 핸드에 대한 정보를 드러내도록 유도합니다.

c.webp 

이 플랍에서 솔버는 여전히 강한 킥커를 가진 탑 페어에 대해 더 자주 C-bet하는 경향이 있지만, 인 포지션 예시보다는 차이가 적습니다.

-베팅 빈도: 어떤 탑 페어 핸드도 67% 이상 베팅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경우 50%에 가까운 빈도를 보임

-전체 베팅 빈도: 24개의 탑 페어 조합 중 13.6개(56%)가 솔버에 의해 베팅 승인

빈도를 맞추는 방법

-랜덤화: 모든 탑 페어에 대해 50~56%의 빈도로 베팅

-간단한 휴리스틱: 탑 페어 탑 킥커(TPTK, 12개 조합)만 베팅 (솔버 승인 빈도 13.6개 조합에 근접)

이 두 가지 접근 방식 모두 적절하며, 개인적인 스타일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OOP 예시 #2: Ts 8h 6d

프리플랍 액션: 스몰 블라인드에서 레이즈, 빅 블라인드가 콜

이전의 인 포지션 예시와 동일한 Ts 8h 6d 플랍을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솔버는 이번에도 팟의 75% 크기의 큰 베팅을 선호합니다.

d.webp 

솔버는 포지션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탑 페어에 대해 높은 빈도로 베팅합니다. 이는 즉각적인 가치를 실현하고, 상대적으로 취약한 탑 페어를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베팅 패턴

-강한 킥커: 더 높은 빈도로 베팅 (예: AT, KT)

-백도어 플러시 드로우: 베팅 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

예: T9s는 T9o보다 더 자주 베팅

전략 선택: 솔버의 빈도에 도달하기 위해 규칙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랜덤화 접근: 모든 핸드에 대해 솔버의 빈도를 기억하고 랜덤화

-단순화된 규칙:

AT/KT와 같은 두 가지 최고의 탑 페어 핸드로만 베팅

백도어 플러시 드로우를 가진 탑 페어 핸드로 베팅

어떤 방식이든 본인의 스타일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면 됩니다.

마무리

플랍에서 탑 페어를 플레이하는 방법에는 상당한 자유도가 있습니다.

-핵심 개념 적용

-베팅과 체크의 균형: 합리적인 빈도를 유지하며 전략 구축

-핸드 강도 및 드로우 고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전략을 구축한다면, 플랍에서 탑 페어를 플레이할 때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스크랩

bookbanner

글 수

 

1,463

제목

글쓴이날짜
2025-03-16
2025-03-16
2025-03-16
요청하신 페이지 번호는 목록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10,000 페이지 이하로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2014. Pokergosu.com all rights reserved.

SUPPORT : [email protected]

한국 지역 게시글 중단 요청 : [email protected]

마케팅 대행사 - (주)에브리봇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69 12층

POKERGO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