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토너의 엣지는 '나는 알고 상대는 익숙하지 않은' 스팟을 만들어 칩을 가져오는 능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BB 동크에 대해 분석해볼 예정
*참고로 대부분의 동크는 체크와 EV차이가 거의 나지 않기에, 상대가 나보다 포스트플랍을 잘한다고 생각이 되면 굳이 안하는 것도 방법이다.
동크의 핵심은 익숙하지 않은 상대방의 실수를 유도하는 것에 있다
*기준은 GTO Wizard 토너먼트 40bb 딥 BTN vs BB, Chip EV. 자세한 분석은 후술
1. 보드 텍스처와 동크
8 이상의 카드가 High인 보드에서는 동크를 하지 않는다 (적은 빈도 존재)
보드가 Paired 될 수 밖에 없는 2~3 High board 또한 마찬가지.
주로 동크를 하는 보드는 5,6,7 High connected 보드이며 가장 많이 하는 플랍은 456r. (사이즈는 팟 1/3로 고정했다)
46.7%의 빈도를 가진다. 이후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더 줄어든다
-투톤보드는 다소 적은 빈도를 가진다 (약 40%)
-Paired 보드는 더 적은 빈도를 가진다 (약 30%)
2. Stack depth와 동크
60~80bb 이상의 딥스택 게임에서는 동크 빈도가 줄어든다 (25%)
-> BB에서만 가지는 탑페어, 투페어 콤보들로 리버까지 칩을 넣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그런듯
반대로 25bb 이하의 숏스택 게임에서는 반대로 동크잼 콤보가 등장한다.
GTO Wizard 토너먼트 20bb 딥 BTN vs BB, Chip EV.
상대와 긴 포스트플랍을 하기 싫으면 탑페어, 탑페어+양차, 바텀페어 + 양차, A8, K8 등으로 그냥 18bb 셔브 박는 것도 선택지가 되겠다
(특히 36o, 43o, 62s, 백도어없는 63s 등 발전을 기대하기 힘든 핸드들은 동크잼의 EV가 제일 높으니 참고하자)
3. 포지션과 동크
UTG vs BB와 BTN vs BB에서 큰 차이가 날 줄 알았는데, GTO가 제시하는 비율은 45.9%로 별로 큰 차이 없다.
*하지만 비율이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원인은, BB의 Defense 전체 레인지가 BTN을 상대할 때보다 더 타이트해져서 그런 것 같고, 핸드 별 동크 비율을 자세히 보면 BTN을 상대할 때보다 대체로 동크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페어 핸드들이 그 경향이 두드러진다
TT 99 88 77등으로 동크 비율이 있다는 것 정도만 참고할 것
4. 동크 핸드 카테고리
GTO Wizard 토너먼트 40bb 딥 BTN vs BB, Chip EV.
(당연한 상식이지만, 아예 핸드 발전의 가능성이 없는 QTo 같은 핸드는 동크를 하지 않는다.)
ㄱ. 최고 핸드 (*당연히 60%이상, 가장 높은 빈도로 동크하며 백도어 FD 유무 크게 신경쓰지 않음 )
- 스트레이트
- 투페어
- 탑페어
*바텀스트레이트, 바텀 투페어가 가장 높은 동크비율을 가진다.
ㄴ. 중간~약한 핸드 (*백도어 FD를 가질수록 더 높은 동크빈도 가짐)
- 탑페어
- 세컨페어
- 바텀페어
#드로우가 걸리지 않았다면 키커가 좋을수록 빈도가 늘어난다-
#당연히 탑페어가 가장 높은 빈도, 바텀페어가 가장 낮은 빈도로 동크한다. 특히 키커가 낮고 드로우 없는 바텀페어는 거의 동크하지 않음
#특히 페어+드로우 콤보들이 BB동크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겠다. 대부분 50% 이상의 동크 빈도를 가져간다
- OESD
#페어와 반대로 키커가 낮을수록 높은 동크빈도를 가진다. 백도어 가진 T7s, 97s등은 80%이상의 동크빈도를 지님
- 것샷
#특히 아래것샷은 BDFD를 가지지 않으면 대체로 동크하지 않는다
- 투오버 Bdfd
- FD(투톤보드의 경우)
ㄷ. 쓰레기 핸드 (*당연히 가장 낮은 빈도로 동크함)
백도어 없는 것샷
백도어 없는 투오버
-----------------------------------------------------------------------
다음편은 동크에 대한 콜 후 턴 카드에 따른 플레이
이후 리버 플레이, 레이즈를 맞았을 때, 동크와 첵-레이즈의 연관성 등 분석할게 한두가지가 아닌데.. 2편이 언제 나올지는 몰?루
2024.09.27 11:55:22
추천
2024.10.01 02:47:12
ㅊㅊ
2024.10.01 06:06:28
ㅊㅊ
2024.10.01 12:30:53
동크 팟 너무 어려운 것. 레이즈 감으면 도망가고 콜하자니 뭔가 기분 나쁨. Pfa 는 난데 왜 끌려다녀야 해 ㅠㅠ
2024.10.01 22:10:01
사실상 동크하는 플레이어들은 동크 자체가 실수하는 플레이라고 보는게 현실적일 듯 즉, 전략을 확실히 알고 쓰는 동크는 거의 없다.
레귤러는 동크보단 첵레이즈를 더 선호하고 실제 필드에서 456r 보드에 BB 동크는 한방줄이나 투페어 같은 헤비벨류가 대부분일거라는 생각
2024.10.02 02:59:08
@Day6
실제 필드에서 다른 플레이어들이 밸류헤비로만 BB동크를 한다면, IP는 균형보다 오버폴드 할거고
우리의 BB동크 레인지 중 세미블러프 핸드들은 쉽게 상대를 폴드시키고 팟-다운 할 수 있겠네요
개이득인듯 ㅋㅋ
2024.10.02 19:40:44
@잠시만요
일단.. 프리플랍 3벳 4벳 5벳레인지가 옵티멀한건지?, 그리고 프리플랍이후에, BB의 베팅옵션이 무엇무엇인지? (체크, 1/3, 빅벳?), 그리고 BB가 동키벳 날렸을때 BTN의 베팅 옵션은 어떻게되는지?, 그리고 턴이후에 BB와 ,BTN의 베팅옵션, 리버의 BB, BTN의 베팅옵션은 어떻게 설정되있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