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53
추천 수 4
2024.07.17 23:06:36
GTO Wizard로 공부하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방법은 과학적 방법을 가이드로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즉,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실험을 진행합니다.
스몰 블라인드(SB)가 림프하고 빅 블라인드(BB)의 레이즈를 콜한 시나리오를 연구하기 시작했을 때, 제 가설은 이것이 버튼(BTN) vs BB 대결과 비슷할 것이라는 것이었습니다. 두 경우 모두 레이트 포지션 레이저가 OOP에서 콜한 플레이어와 팟을 다툽니다.
결과적으로 제 가설은 반만 맞았습니다. 그리고 틀린 반쪽이 더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동크 베팅
제가 맞춘 부분은 프리플랍에서 림프하고 콜한 후, SB가 플랍에서 거의 동크 베팅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스택이 매우 얕을 때만 SB의 전략에서 동크 베팅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리플랍에서 두 번이나 공격적인 기회를 놓쳤다면, 40BB 이상으로 올인할 만큼 강한 핸드를 가질 가능성이 낮습니다. 20BB나 30BB 정도라면 탑 페어로도 올인하는 게 합리적이어서, 얕은 스택에서는 동크 베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C-Bet
제가 크게 틀린 점은 BB가 SB를 상대로 컨티뉴에이션 벳(c-벳)을 하는 빈도입니다. BTN이 BB 콜러를 상대로 하는 것만큼 자주 하지 않습니다. 모든 스택 깊이에서 BB는 평균 40-50%의 핸드를 체크백합니다.
스택이 얕아질수록 BB는 덜 극단적인(Polar) c-벳 전략을 사용하며, 더 자주 작은 사이즈로 베팅합니다. 하지만 20BB 스택에서는 BB가 프리플랍에 더 작게 레이즈하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SB는 더 넓은 레인지로 플랍을 볼 수 있고, BB는 작은 벳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공략할 수 있습니다.
어떤 플랍에서 C-벳을 해야 할까?
다음으로 놀라운 점은 BB가 어떤 플랍에 c-벳을 선호하는가였습니다. IP에 있는 플레이어가 BB를 상대로 c-벳할 때는 에이스 하이 플랍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BB vs SB 상황에서는, 특히 딥 스택에서, 에이스 하이 플랍에서 가장 낮은 c-벳 빈도를 보입니다. 100BB 스택에 대한 플랍 리포트의 데이터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이미지 : BB의 평균 플랍 c-벳 전략 vs SB 림프-콜, 유효 스택 100BB (가장 높은 랭크의 카드별로 그룹화) ]
이 스택 깊이에서는 BTN vs BB 싱글 레이즈 팟(SRP)에서처럼 연결되어 있지 않는 플랍에 베팅하는 선호도가 강해 보이지 않습니다.
[이미지 : BB의 평균 플랍 c-벳 빈도, 유효 스택 100BB (연결성별로 그룹화) ]
스택이 얕아질수록 BB에게 에이스 하이 플랍에 c-베팅하는 것이 다소 바람직해지지만, 일반적인 경향은 여전히 높은 카드가 c-베팅에 불리하다는 것입니다.
여기 40BB 스택에서의 종합적인 c-베팅 전략이 있습니다:
[이미지 : BB의 평균 플랍 c-벳 전략 vs SB 림프-콜, 유효 스택 40BB (가장 높은 랭크의 카드별로 그룹화) ]
20BB 스택에서만 BB의 c-베팅 전략이 BTN의 전략과 비슷해지며, 789,TJQ 같은 연결된 플랍에서의 베팅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 BB의 평균 플랍 c-벳 전략 vs SB 림프-콜, 유효 스택 20BB (가장 높은 랭크의 카드별로 그룹화) ]
BB의 양극화된(Polar) 프리플랍 레인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설명은 BB의 프리플랍 레인지에 있습니다. 이 레인지는 다른 어떤 포지션의 레이징 레인지와도 상당히 다릅니다:
BB 전략 vs SB 림프, MTT ChipEV 시뮬레이션 100BB 스택
비교를 위해, 같은 상황에서 BTN의 레이징 레인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BTN(또는 SB 이전의 다른 자리)의 경우, 첫 번째 플레이어로 팟에 림프하는 것은 거의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림프가 선택지에서 제외되면, 레이즈하는 레인지는 항상 선형적입니다. (올인 레이즈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가정.) 더 좋은 핸드를 폴드하고 더 나쁜 핸드를 레이즈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BB의 경우, SB의 림프에 대해 꼭 레이즈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미 블라인드를 냈기 때문에 체크라는 옵션을 통해 플랍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레이즈를 하게 된다면 SB로부터 림프-레이즈를 받을 위험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BB는 3벳을 받았을 때 어려운 결정에 직면할 많은 중간 강도의 핸드를 체크하고, 92o와 84o 같은 많은 약한 핸드로 레이즈합니다. 이런 약한 핸드들은 폴드 에퀴티를 더 높게 평가합니다. 도미네이트된 핸드를 폴드시킬 수 있고, 3벳을 받더라도 그냥 팟을 포기하면 되므로 큰 손실이 없습니다.
명확히 말하면, Q7s은 84o보다 레이즈 할 때 훨씬 높은 EV를 가집니다. 하지만 Q7s는 체크로서도 훨씬 높은 EV를 가집니다.
BB에게 중요한 질문은 어떤 핸드가 레이즈로서 더 높은 EV를 가지는가가 아니라, 어떤 핸드가 다른 가능한 액션들에 비해 레이즈함으로써 EV를 얻는가(또는 적어도 EV를 잃지 않는가)입니다.
낮은 오프슈트 Ace-x는 BB의 체킹 레인지에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들을 레이즈하면 도미네이트 당하고 있는 핸드를 폴드시키는 동시에 도미네이트 하고 있는 핸드에 대해 팟을 키우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SB의 림프-콜링 레인지는 Ace-x가 많습니다:
[이미지 : SB의 BB 3.5x 아이소-레이즈에 대한 대응, 유효 스택 100BB]
얕은 스택에서는 이것이 덜 문제됩니다. Ace-x 핸드는 두 플레이어 모두 프리플랍에 올인하기에 더 안전하며, 결과적으로 둘 다 이를 더 자주 레이즈합니다. 이로 인해 BB는 레이즈하는 레인지에 더 많은 Ace-x를 가지게 되고 SB는 림프-콜링 레인지에 더 적은 Ace-x를 가지게 됩니다.
(다음 이미지에서 차이를 못 보신다면, Ace-x Suited 들은 각각 4개의 콤보만 나타내는 반면, Ace-x 오프슈트 들은 각각 12개의 콤보를 나타낸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30BB 스택으로 MTT ChipEV 시뮬레이션에서의 SB 림프에 대한 BB 전략
아래는 림프한 후 BB의 3.5x 아이소-레이즈에 대한 SB의 대응을 나타낸 것입니다:
[이미지 : SB의 BB 3.5x 아이소-레이즈에 대한 대응, 유효 스택 30BB]
업데이트된 가설
이제 초기 가설을 테스트하고 부족함을 발견했으니, 다음 단계는 증거에 더 잘 맞는 재구성된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BB가 SB 림프-콜러에게 c-베팅하는 전략이 BTN이 BB 콜러에게 c-베팅하는 전략과 다른 이유는 BB의 프리플랍에서 레이즈하는 레인지가 BTN의 것보다 훨씬 더 극단적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BB는 특히 다른 맥락에서는 프리플랍 레이저에게 유리한 경향이 있는 플랍에서 포스트플랍 에퀴티 우위를 덜 가지게 됩니다.
이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 BB가 대략 같은 42%의 핸드 빈도로 레이즈하지만 단순히 솔버의 더 극단적인 전략 대신 최고의 42%로 레인지를 재구성한 커스텀 시뮬레이션을 실행했습니다:
[이미지 : BB의 커스텀 프리플랍 (선형) 레이징 전략]
SB가 이것이 BB의 전략임을 안다면, 이를 착취하기 위해 자신의 프리플랍 전략을 많이 바꿀 수 있지만, 그것은 이 실험의 범위를 벗어납니다. 혼란 변수를 피하기 위해 SB의 레인지는 그대로 두었습니다.
커스텀 시뮬레이션에서는 리포트를 실행할 수 없지만, BB의 GTO 레이징 레인지를 가진 사전 해결된 스팟과 제 커스텀 시뮬레이션을 비교하기 위해 언커넥티드 에이스 하이 플랍(AJ5r)을 선택했습니다. 극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GTO 시뮬레이션이 대략 레인지의 절반을 베팅하는 반면, 커스텀 시뮬레이션은 거의 80%를 베팅하고 불균형적으로 더 많은 큰 베팅을 사용합니다.
BB의 SB 림프-콜러에 대한 C-베팅 전략 비교,
100BB ChipEV
[이미지 : BB의 프리플랍 레이징 레인지 = 극단적(Polar)일 때]
[이미지 : BB의 프리플랍 레이징 레인지 = 선형(Linear)일 때]
이는 이해가 됩니다. 커스텀 시뮬레이션에서 BB의 레인지는 문자 그대로 모든 Ace-x를 포함하는 반면, GTO 시뮬레이션은 자주 약한 Ace-x를 체크백하기 때문입니다. GTO 시뮬레이션이 커스텀 시뮬레이션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일 수 있는 플랍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BB가 프리플랍에 선형 레인지로 레이즈한 후에는 더 크고 더 자주 베팅할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선형 레인지가 더 강한 레인지이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극단적인 레인지보다 더 많은 에퀴티를 플랍에서 가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
우리가 만든 BB(빅 블라인드)의 새로운 전략이 좋아 보이는데, 왜 이게 최고의 전략이 아닐까요? 이 전략은 BB가 레이즈할 때 더 강한 핸드를 가지고, SB(스몰 블라인드)가 콜한 후에도 잘 플레이할 수 있게 해주는데 말이죠.
문제는 우리가 BB가 레이즈하는 상황만 보고 있다는 거예요. 하지만 포커는 레이즈만 하는 게 아니잖아요? BB가 그냥 체크하는 상황도 봐야 해요. 우리의 새 전략은 BB가 레이즈할 때는 좋지만, 체크할 때는 오히려 돈을 더 많이 잃을 수 있어요. 전체적으로 봤을 때, 레이즈해서 얻는 것보다 체크해서 잃는 게 더 클 수 있다는 거죠.
왜 그럴까요? 우리가 BB의 좋은 카드를 전부 레이즈하는 데 썼기 때문이에요. 그러다 보니 BB가 체크할 때는 항상 약한 카드만 갖게 돼요. 이러면 SB가 BB를 쉽게 공격할 수 있죠. 특히 에이스가 나온 보드에서는 BB가 정말 불리해져요. BB는 좋은 페어를 만들 카드가 하나도 없으니까요!
이런 점들이 바로 솔버(포커 전략 분석 프로그램)가 재미있고 유용한 이유예요. 솔버로 공부한다고 해서 그냥 레인지를 외우는 게 아니에요. 오히려 예상 밖의 결과를 보고 놀라고, 그 이유를 파헤치다 보면 포커의 깊은 원리를 이해하게 되는 거죠. 이렇게 하면 처음에 궁금했던 것 외에도 다양한 포커 상황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 https://blog.gtowizard.com/limp-called-pot-as-bb/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잘 읽으셨다면 추천 한 개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스크랩
댓글 수
1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4.07.18 14:38:08
가설 세우기-실전-리뷰 뒤 실제 결과값 비교-재수정-다른 가설 및 실험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