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bet과 4bet 대응 전략
#### 일반적인 실수와 해결 방법
많은 플레이어가 3bet과 4bet 상황에서 실수를 저지르곤 합니다. 이러한 실수를 이해하고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실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옳지 않은 포지션에서의 4bet: 포지션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라이트한 4bet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정 핸드의 과대평가: 특정 핸드의 가치를 과대평가하여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경우입니다.
- 잘못된 4bet & 5bet 사이즈: 특히 아웃 포지션에서 4bet 사이즈를 너무 작게 가져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상대에게 좋은 오즈를 제공하여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4bet 블러프를 하지 않는 것: 로우-미들 스테이크에서는 4bet 블러프를 전혀 시도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상대가 타이트한 경우, 이를 활용하여 블러프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4bet 블러프 핸드 선택: 4bet 블러프에 적합한 핸드를 잘못 선택하여 손해를 보는 경우입니다.
#### 기본적인 계산과 전략
3bet을 상대할 때는 기본적인 계산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2.5BB로 오픈 레이즈를 했고 상대가 7.5BB로 3bet을 했다면, 4bet 사이즈는 상대의 3bet 사이즈의 약 3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3bet과 4bet의 사이즈 선택
- 큰 3bet 사이즈: 상대가 큰 사이즈로 3bet을 할 경우, 더 강한 레인지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더 낮은 빈도로 디펜스를 해야 합니다.
- 작은 3bet 사이즈: 상대가 작은 사이즈로 3bet을 할 경우, 우리는 더 많은 핸드로 디펜스를 할 수 있습니다.
#### 포지션에 따른 3bet 대응
상대의 3bet 포지션에 따라 대응 전략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스몰 블라인드에서의 3bet 레인지는 빅 블라인드에서의 3bet 레인지보다 강합니다.
#### 플레이어 이미지와 상대 분석
상대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분석하여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이트한 플레이어를 상대로는 4bet 블러프를 시도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루즈한 플레이어를 상대로는 4bet 블러프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이론 적용
실전 핸드 예제를 통해 이론을 적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UTG에서 오픈 레이즈를 했고 미들 포지션에서 3bet을 맞았다면, 4bet을 고려할 때 상대의 3bet 레인지를 분석해야 합니다.
- 레벨링 싸움 피하기: 절대로 레벨링 싸움이나 클릭 싸움을 하지 말고, 정직하게 플레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상대의 패턴 인식: 상대가 자주 3bet을 시도하는 패턴을 인식하고, 이에 맞춰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4bet 사이징
3bet 레인지가 약하면 우리는 더 작은 4bet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B vs BB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아웃 포지션 4bet:** 일반적으로 2.8x ~ 3x 사이즈로 4bet을 합니다.
- **인 포지션 4bet:** 2.5x ~ 2.7x 사이즈로 4bet을 합니다.
- **SB vs BB:** 빅블라인드의 3bet 레인지가 양극화되어 있으므로, 4bet 사이즈를 크게 가져갈 필요가 없습니다. 빅블라인드는 64s, 63s, AA, KK, AK와 같은 핸드를 사용하며, 4bet을 하면 약한 핸드는 어차피 폴드할 것입니다.
#### Exploitative 플레이
Exploitative 플레이는 상대의 최적 전략에서 벗어난 행동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상대가 3bet을 너무 루즈하게 가져가면 우리는 더 많은 4bet을 시도하고, 너무 타이트하게 3bet을 가져가면 더 많은 핸드로 폴드를 합니다.
- **미들 포지션 3bet:** 상대가 UTG를 상대로 미들 포지션에서 5%의 빈도로 3bet을 한다면, AA, KK, QQ, AK가 주로 포함됩니다. A5s와 같은 핸드를 사용하여 4bet 블러프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핸드는 AA와 AK를 블락하여 상대의 벨류 3bet 레인지를 감소시킵니다.
- **QJ와 같은 핸드:** QJ는 4bet 블러프 핸드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상대의 블러프 레인지를 블락하지만, 벨류 레인지를 크게 블락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포지션과 레인지 고려
포지션에 따라 3bet과 4bet 레인지를 조정해야 합니다. 특히 딥 스택 상황에서는 4bet 빈도를 낮춰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0BB 이상의 스택을 가졌을 때는 대부분의 경우 콜로 대응하는 것이 좋습니다.
#### ICM 상황
ICM(Independent Chip Model)은 토너먼트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파이널 테이블과 같은 상황에서는 ICM 리스크를 고려하여 플레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BB 이하의 스택을 가졌을 때는 3bet 폴드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기본적인 계산
4bet을 할 때는 상대의 3bet 사이즈에 따라 계산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상대가 7.5BB로 3bet을 했다면, 18~19BB로 4bet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56.3%의 폴드 에퀴티가 필요합니다.
### 4bet 핸드 선택과 전략
#### 블락커와 에퀴티
- **인 포지션:** '블락커'가 중요합니다. 상대의 5bet 올인 레인지를 블락하는 핸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아웃 포지션:** 더 많은 에퀴티를 가져야 합니다. 포스트 플랍 플레이에서 상대가 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스택 사이즈에 따른 전략
- **100BB 스택:** AA나 KK만으로 4bet. 블러프는 거의 하지 않음.
- **40BB 이하 스택:** 상대의 3bet이 작으면 콜 가능.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AA, KK, AK, QQ와 같은 강한 핸드로 4bet.
- **40BB 이하의 스택:** 콜할 핸드와 폴드할 핸드를 명확히 구분. 작은 3bet 사이즈에 대해서는 더 많은 콜링 레인지.
#### 4bet 레인지 예제
- **UTG:** AA, KK로 4bet 벨류. A10s으로 블러프. QQ, JJ, AK는 상황에 따라 4bet 또는 콜.
- **UTG+1:** UTG 레인지와 유사하나 QJs 추가.
- **UTG+2:** 좀 더 넓은 4bet 블러프 레인지. 블라인드에서 3bet이 나올 때 Ax 핸드를 사용.
- **CO:** AJo, A10s으로 4bet 블러프 가능. 아웃 포지션에서는 55까지 콜 가능.
- **버튼:** Q8s, 수딧 Kxs를 블러프 핸드로 사용. 상대가 루즈한 경우 더 넓게 4bet.
#### Exploitative 플레이
상대의 3bet 빈도와 스타일을 파악하여 4bet 블러프 및 벨류 핸드 선택.
- **상대가 루즈한 경우:** 더 많은 블러프를 포함.
- **상대가 타이트한 경우:** 더 많은 폴드 및 강한 벨류 핸드 사용.
#### ICM 상황
- **ICM 리스크:** 파이널 테이블에서 조심스럽게 플레이. 숏스택 탈락을 기다리면서 타이트하게 플레이.
- **ICM 적용:** 4bet 올인을 고려할 때 ICM 리스크를 반영.
### 4bet 올인 핸드 선택
- **30BB 이하 스택:** KQs, 로우 파켓 페어 등으로 4bet 올인 가능.
- **40BB 이하 스택:** AK, 1010, JJ 등을 4bet 올인으로 사용.
#### HRC와 ICMizer 분석
상대의 올인 콜 레인지와 3bet 레인지를 분석하여 적절한 4bet 올인 핸드 선택. 상대의 블러프 빈도에 따라 핸드 선택을 조정.
### 핸드 예제 분석
#### 예제 1: 버튼에서 AA, 150BB 스택
- 상황: 버튼에서 AA를 가지고 있으며 3bet을 맞았습니다.
- 전략: 이런 깊은 스택에서는 콜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4bet을 했지만, 이는 실수였습니다. 상대의 리딩이 있다면 AA, KK로 4bet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콜이 더 나은 선택입니다.
- 플레이: 포스트 플랍에서 상대가 K10s을 가졌습니다. 이렇게 큰 리스크를 감수하는 3bet 플레이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 예제 2: 109s, 3bet을 맞은 상황
- 상황: 109s로 3bet을 맞았습니다.
- 전략: 상대의 3bet 사이즈가 작고 서로 깊은 스택이라면 콜이 가능합니다. 109s은 일반적인 콜링 레인지에 포함되지 않지만, 상황에 따라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
- 플레이: 플랍에서 오픈-엔드 스트레이트 드로를 맞추고, 턴에서 스트레이트를 완성했습니다. 리버에서 작은 베팅을 했지만 상대는 KKs로 콜했습니다. 상대는 더 큰 3bet 사이즈를 사용했어야 합니다.
#### 예제 3: JJ, 3bet을 맞은 상황
- 상황: JJ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가 작은 사이즈로 3bet을 했습니다.
- 전략: 200BB 스택을 가지고 있었기에 콜만 하는 것이 적절했습니다. 오버 콜이 나온 상황에서 다양한 핸드로 콜을 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 플랍과 턴에서 콜했지만, 리버에서는 포기했습니다. 지금의 상황은 포스트 플랍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 예제 4: AK, 3bet을 맞은 상황
- 상황: AK를 가지고 있으며 3bet을 맞았습니다.
- 전략: AK, AQ, KQs, KJs 등의 핸드로 100BB 딥한 상황에서 콜을 할 수 있습니다. A10s는 4bet 블러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플레이: 플랍에서 탑페어+탑키커를 맞추고 턴 베팅에 상대가 레이즈를 했습니다. 콜 후 리버에서 작은 베팅을 했지만, 폴드하지 않았습니다.
#### 예제 5: KJs, 3bet을 맞은 상황
- 상황: KJs로 3bet을 맞았습니다.
- 전략: 세컨 넛 플러쉬 드로를 맞추고 상대가 체크를 했습니다. 베팅을 했으며 상대의 A하이와 같은 핸드를 폴드시키기 위해 더 크게 베팅할 수도 있었습니다.
- 플레이: 리버에서 올인을 선택했고 상대는 99로 콜했습니다. 상대가 콜할 충분한 벨류 레인지가 있음을 고려하면 적절한 플레이였습니다.
### 4bet 레인지와 전략 분석
#### 4bet 핸드 선택
- 인 포지션: 블락커가 중요하며 상대의 5bet 올인 레인지를 블락하는 핸드를 선택합니다.
- 아웃 포지션: 더 많은 에퀴티를 가져야 합니다. 상대가 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 스택 사이즈에 따른 전략
- 100BB 스택: AA, KK만으로 4bet.
- 40BB 이하 스택: 상대의 3bet이 작으면 콜 가능. 대부분의 경우 AA, KK, AK, QQ와 같은 강한 핸드로 4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