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인드 디펜스학 개론: 토너먼트와 캐시 게임
빅블라인드의 위치에서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빅 블라인드는 카드를 확인하지 못한 채 풀 블라인드를 지불해야 하고(엄청난 단점입니다), 포스트플랍에서 대부분의 경우 아웃 포지션에 위치하게 됩니다.
빅 블라인드는 실수가 나오기 너무나 쉬운 불리한 포지션임에 틀림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가 레이즈를 했을 때, 언더 디펜딩을 할 경우 칩이 천천히 흘러나갈 것이고 상대가 블라인드 스틸을 더 자주 시도하게 만들 것입니다. 반면 오버 디펜딩을 하면 약한 레인지로 아웃 포지션에 서야 하므로 포스트플랍에서 까다로운 상황에 직면할 것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실수를 방지해 빅 블라인드에서의 손실을 줄이고 전반적인 승률을 높이는 조언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블라인드 디펜스 개론
- 빅 블라인드 디펜스
- 특성
- 블라인드 대 버튼(토너먼트)
- 게임 빅 블라인드 디펜스
- 게임의 특성
- 블라인드 대 버튼(캐시 게임)
- 블라인드 디펜스를 위한 6가지 팁
- 디펜스를 위한 간략한 조언
그럼, 시작합니다!
해당 기사는 업데이트되었습니다.
-
- 블라인드 디펜스학 개론
최적의 빅 블라인드 디펜스 레인지의 레시피에는 메인 재료가 세 가지 들어갑니다.
- 콜에 대한 팟 오즈
- 레인지.
- 핸드의 실질 에퀴티(Relized Equity).
-
- 콜에 대한 팟 오즈
-
팟 오즈는 콜을 했을 때 팟을 어느 정도 비율로 승리해야 장기적으로 이익이 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예를 들어 $10의 팟을 얻기 위해 $5를 콜해야 하는 경우, 이길 확률이 33.3% 이상이어야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익이 됩니다.
-
-
- 레이즈 레인지
-
팟을 이기기란 약한 레인지보다 강한 레인지를 상대할 때 더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방이 얼리 포지션에서 레이즈를 한다면 그는 강한 레인지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결과적으로 디펜스 레인지를 좁혀야 합니다. 상대가 레이트 포지션에서 레이즈를 한다면 더 넓은 레인지로 디펜스할 수 있습니다.
-
-
- 핸드의 실질 에퀴티(Relized Equity)
-
실질 에퀴티(Relized Equity)란?
상황에 따라 어떤 핸드는 포스트플랍에서 수치상의 에퀴티보다 적은 에퀴티를 갖습니다. 예를 들어, 7♣ 5♥는 K♠ K♥를 상대할 때 에퀴티가 17.4%지만, 그렇다고 해당 핸드가 실제로 17.4%의 확률로 이긴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드로우를 놓치거나, 베팅을 맞고 폴드하는 경우가 추가되기 때문에 때문에 7♣ 5♥가 ‘실질적으로’ K♠ K♥를 이길 확률은 17.4%보다 훨씬 낮습니다.
강하고, 연결성이 좋거나 문양이 잘 맞는 핸드가 높은 실질 에퀴티를 갖습니다. 심지어 어떤 핸드는 강할뿐 아니라 포스트플랍에서의 성능이 너무 좋은 나머지 실질 에퀴티가 수치상의 에퀴티보다도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A♠ A♥같은 핸드, 혹은 루즈한 플레이어를 상대할 때의 J♥ T♥같은 핸드가 그 예입니다. 간단히 말해, 이런 핸드는 수치상의 승률보다 현실에서의 승률이 더 높습니다.
핸드의 실질 에퀴티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게임 내에서 이를 추정하는 것입니다. .
-
- 빅 블라인드 디펜스
빅 블라인드 디펜스 레인지에 영향을 주는 토너먼트만의 특성에 대해 논의해보겠습니다.
-
-
- + 스몰 레이즈 사이즈 = 높은 팟 오즈
-
풀링 테이블에서 앤티는 팟에서 대략 1 빅 블라인드만큼을 만들어냅니다. 여기에 토너먼트에서의 비교적 작은 레이즈 사이즈(2x-2.5x)를 더하면 빅 블라인드가 넓은 레인지로 성공적으로 수비할 수 있다는 점이 분명해집니다.
-
-
- 스택 크기
-
토너먼트는 스택의 다양성으로 인해 캐쉬 게임보다 훨씬 더 역동적인 레인지 양상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딥 스택 플레이어는 숏 스택 플레이어보다 레이즈 레인지가 훨씬 넓은 경우가 많습니다. 딥 스택 입장에선 그렇게 함으로써 숏 스택에게 압박을 줄 수 있죠. 반대로, 숏 스택 플레이어는 레이즈를 많이 하는 플레이어를 상대로 넓은 레인지를 쓰리벳 쇼브하는 것으로 이득을 챙길 수 있습니다.
-
- 블라인드로 버튼 오픈 상대하기(토너먼트)
9핸드 토너먼트. 블라인드 100/200/20. 유효 스택 8,000 칩.
당신은 빅 블라인드에서 두 장의 카드를 받습니다.버튼이 420으로 레이즈합니다.sb가 폴드합니다. 당신은…
우리가 콜을 할 경우 900을 얻기 위해 220을 거는 것이 되며, 이는 수익성 있는 콜이 되려면 실질 에퀴티가 19.6% 이상이어야 함을 의미합니다(200/1120 = 0.196).
Nick Petrangelo의 Winning Poker Tournaments 과정의 40BB 버튼 레이즈 차트를 사용해 버튼 레인지의 추정치를 도출해보겠습니다.
디펜스 레인지를 직접 손으로 계산하기란 매우 어려운 작업입니다. 먼저 에퀴티 계산기를 사용하여 버튼의 레인지에 대한 각 핸드의 수학적 에퀴티를 확인하고, 여기에 직관을 더해 콜하기에 충분한 실질 에퀴티를 갖는 핸드를 추려냅니다. 이 과정은 깔끔하게 떨어지지 않고 수많은 추측이 필요하지만, 어떤 핸드가 수비에 유리한 핸드인지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탑 프로 선수들은 아주 정확하고 안정적인 프로세스를 사용합니다. 그들은 프리플롭 레인지를 공식화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분석이 결합된 프리플롭 솔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
위의 내용을 기억하면서, Nick의 코스에 소개된 빅 블라인드 디펜스 vs 버튼 레이즈의 차트를 살펴보십시오.
콜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게 너무 루즈해 보인다면, 가장 약한 핸드의 대 버튼 에퀴티 레인지를 살펴보십시오.
53o는 버튼의 예상 레인지에 대해 33.66%의 수학적 에퀴티를 갖습니다. 그 말은 이 핸드의 실질 에퀴티가 수학적 에퀴티의 58.2% 이상이기만 하다면, 콜을 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커넥티드 핸드로 와이드 레인지를 상대한다면 어렵지 않은 조건이죠.
이러한 레인지에서 약한 핸드로 포스트플랍 플레이를 하기가 정 불안하다면, 폴드하는 건 여러분 몫입니다. 하지만 이 레인지 구조에 따르면 분명 빅 블라인드는 와이드 레인지의 스몰 레이즈를 상대로 매우 루즈한 플레이를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고수가 53o를 충분히 디펜스할 수 있다면, 여러분도 J4 정도는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 게임 빅 블라인드 디펜스
캐쉬 게임의 빅 블라인드 디펜스는 두 가지 면에서 토너먼트와 크게 다르며, 두 요인 모두 더 타이트한 플레이를 더 유리하게 만들어줍니다.
-
-
- 앤티 + 표준 레이즈 사이즈 = 낮은 팟 오즈
-
앤티가 없다는 건 카드가 딜링되기 전 팟이 1.5BB에 불과함을 의미하므로 어떤 위치에서든 훨씬 더 타이트하게 플레이해야 합니다. 게다가, 프리플랍 레이즈는 캐쉬 게임(온라인 2x-3x, 라이브 4x-5x)에서 더 커지는 경향이 있어서 팟 오즈가 더욱 나빠집니다.
토너먼트와 달리 캐시게임에서는 플랍때마다(지독한 카드 룸에서는 프리플랍부터) 레이크가 핸드 단위로 지불됩니다. 우리는 더 작은 팟을 두고 포스트플랍에서 플레이해야 하므로, 낮은 팟 오즈를 상쇄하기 위해 콜 레인지를 약간 좁혀야 합니다.
추가로, 프리플랍에서 팟이 끝나는 경우엔 레이크를 내지 않으므로 더 넓은 레인지로 쓰리벳을 하는 메리트가 커집니다.
-
- 블라인드로 버튼 오픈 상대하기(캐시 게임)
$1/$2 캐시 게임. 유효 스택 $200.
당신은 빅 블라인드에서 두 장의 카드를 받습니다.버튼이 $5로 레이즈.sb 폴드. 당신은…
우리는 $8을 얻기 위해 $3를 걸어야 하는 상황인데, 레이크까지 고려하여 팟이 $7.50 정도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즉, 콜을 하려면 28.6% 이상의 에퀴티가 필요합니다(3/10.50 = 0.286).
버튼의 레인지를 추정하기 위해 Educa-p0kerElite Cash Game Mastery 과정의 버튼 레이징 차트를 사용합니다.
에퀴티 계산기와 직관력을 사용해서 디펜스 레인지를 직접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토너먼트 예에서 언급했듯, 이 프로세스의 결과는 그다지 신뢰도가 높지 않습니다(다만 핸드 vs 레인지 에퀴티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수는 있을 겁니다).
그 대신 Educa-p0ker 과정의 빅 블라인드 디펜스 대 버튼 레이즈 차트를 살펴보겠습니다.
토너먼트보다 훨씬 타이트한 디펜스 레인지입니다. 토너먼트에서는 53o, Q3o, 그리고 모든 수티드 핸드로 디펜딩한 반면, 캐시 게임에서는 K7o, Q8o 및 84와 같은 강력한 핸드도 폴드 대상입니다.
물론 캐쉬 게임에서도 디펜스를 해볼만한 핸드가 꽤 있지만(이 예에서는 핸드의 51.7%), 앤티가 없다는 점과 레이즈 사이즈가 다소 크다는 점은 플레이할 수 있는 핸드의 수를 줄이는 요인이 됩니다.
-
- 빅 블라인드 디펜스를 위한 3가지 팁
- 앤티를 위해 싸워라.
- 빅 블라인드 디펜스를 위한 3가지 팁
특히 빅 블라인드에서 디펜스하는 경우라면, 앤티가 프리플랍 레인지에 미치는 영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앤티는 매번 낼 때는 작은 금액이라 그 중요성이 간과되곤 하지만, 그것들이 누적되면 팟 오즈에 큰 영향을 미치고 프리플랍의 역동성을 크게 변화시킵니다.
-
-
- 쓰리벳 쇼브를 준비하다.
-
숏 스택(30BB 미만)으로 빅 블라인드에 있을 땐 쇼브에 좋은 핸드로 쓰리벳 쇼브를 준비합니다. 이 플레이를 사용하면 숏 스택을 불릴 귀중한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강력한 핸드를 가지고 있을 때 최대한의 밸류를 뽑을 기회가 생길 겁니다.
예를 들어 20BB 스택으로 버튼 레이즈를 상대할 때, Nick은 KK-22, AK-AJ, ATo-A9o, A4o-A2o, T9s-T7s와 일부 다른 핸드를 다양한 빈도로(A8o-A5o, A5s-A2s, K7s-K6s, KQs-KJs, Qjs-QTs) 쇼빙할 것을 권장합니다.
-
-
- 숏스택으로 콜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
6에서 15 빅 블라인드 플레이를 할 때 흔히 하는 오해로는 레이즈를 상대로는 쇼브와 폴드 둘 중 하나라는 것이 있습니다. 콜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오즈, 그리고 숏 스택으로 얻을 수 있는 실질 에퀴티를 생각해보면, 이 조언은 철이 지난 조언임이 분명합니다.
스몰 레이즈를 당했고 쇼브하기엔 약하지만 폴드하기엔 아까운 핸드를 잡았다면, 주저없이 콜하십시오. 이게 얼마나 효과적이냐면, 이렇게 루즈한 빅 블라인드 디펜스에 대처하기 위한 오픈 레이즈 사이징 트렌드가 새로 나타날 정도입니다.
.
-
- 게임 빅 블라인드 디펜스를 위한 3가지 팁
- 레이즈 사이즈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
- 게임 빅 블라인드 디펜스를 위한 3가지 팁
캐시 게임의 특징 중 하나는 오프닝 사이즈가 2x에서 5x, 또는 그 이상까지 다양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스팟마다 팟 오즈가 바뀌므로, 빅 블라인드는 디펜스 레인지를 언제든 과감하게 조정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디펜스가 훨씬 더 타이트해야 하고, 더 큰 레이즈에 대해 쓰리벳 레인지도 넓혀야 합니다.
-
-
- 스몰 블라인드를 상대할 때 포지션의 이점을 활용한다
-
스몰 블라인드를 상대하는 상황에선 팟을 따기 위해 한 명의 플레이어만 넘기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선 레이즈의 빈도가 높아집니다.
빅 블라인드인 우리는 따라서 높은 빈도로 디펜스를 함으로 카운터를 치는 겁니다. 우리가 인포지션을 잡았으므로 상대의 레인지가 넓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우리는 이미 블라인드를 투자했으므로 디펜스 레인지도 넓어지는 것이 합당합니다.
-
-
- 상대의 성향에 따라 조정한다.
-
캐시 게임의 장점 중 하나는 비슷한 플레이어 풀과 일정기간 경기를 하며 그들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빅 블라인드 디펜스 전략을 유리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타이트한 플레이어로부터 레이즈를 당했다면, 디펜스 레인지를 좁혀야 합니다. 반대로, 스몰 블라인드에서 레이즈한 상대가 80% 정도의 핸드를 플레이하는 미치광이라면, 싸움 없이 순순히 빅 블라인드를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매우 나쁜 핸드를 잡은 게 아니라면 말이죠).
-
- 디펜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
우리보다 앞서 한 명 이상이 이미 프리플랍 레이즈에 콜을 했다면, 우리의 수비 전략은 두 가지 방식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먼저, 비록 팟 오즈는 올라갔지만 그럼에도 디펜스 레인지는 좁혀야 합니다. 다수를 상대할 땐 실질 에퀴티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핸드의 수치상의 에퀴티가 콜하기에 충분하더라도, 그 핸드가 멀티위에 팟에서도 잘 작동한다는 확신이 없다면 폴드가 나을 수도 있습니다.
두 번째는 멀티웨이 팟에 더 적합하도록 레인지를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갭이 크거나 쿨러를 당할 확률이 높아 멀티웨이 팟에서 불리한 핸드 (A3o, K7o, 83s 등)를 제외할 필요가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 블라인드 수비 전략은 주로 콜에 대한 팟 오즈, 상대의 레이즈 레인지, 핸드의 실질 에퀴티를 기반으로 합니다.
- 앤티가 있고 평균 레이즈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디펜스 빈도를 높일 수 있지만, 다양한 스택에 맞는 조정이 필요합니다.
- 게임에서는 앤티가 없고 레이크가 있으며 평균 레이즈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디펜스 빈도를 줄여야 합니다.
- 팟에서는 디펜스 레인지가 훨씬 타이트해야 합니다.
. .
오늘도 포커 실력 향상을 위해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보셨다면 추천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