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84
추천 수 1
2025.04.08 20:51:31
2025년 4월 4일 GTO Wizard
Brandon Wilson과 Aliaksandr Shylko가 올해 Triton 8-핸디드 $25K 이벤트의 버블 직전에서 맞붙었습니다.
Wilson은 트리플 배럴 블러프로 토너먼트 생명을 걸었고, Shylko는 그것을 알아챘습니다. 하지만 이는 GTO Wizard에 의하면 올바른 플레이였을까요? 확인해 보겠습니다:
상황 정리:
필드 크기: 72/391 - 상위 63명 머니인 ($41,500 최소 상금)
블라인드: 20k/40k/40k
스택 사이즈:
* Brandon Wilson UTG 870k
* Mikita Badziakouski +1 325k
* Nikita Kuznetsov 1.2m
* Patrik Antonius HJ 550k
* Kristen Foxen CO 1.4m
* Alex Kulev BTN 745k
* Aliaksandr Shylko SB 925k
* Fabian Bernhauser BB 325k
프리플랍
Wilson은 UTG에서 As-Td를 들고 2bb로 오픈했고, Shylko는 SB에서 Ac-Qh로 플랫했습니다. 아래 스크린 샷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선수 모두 이 스트리트에서는 잘 플레이했습니다.
ATo로는 UTG에서 항상 오픈해야 하고, AQo는 대략 50/50으로 콜과 올인을 혼합합니다. 전반적으로 Shylko는 버블에 가까운 시점에서 높은 ICM 압박으로 인해 매우 타이트한 레인지로 레이즈해야 합니다. 이것이 AQo가 올인과 콜 사이에서 무차별한 이유이며, ICM을 고려하지 않았다면 항상 올인했을 것입니다.
UTG 오프닝 레인지(ICM에 맞춰 조정됨)
UTG 2bb 오픈을 상대로 한 SB의 레인지(ICM에 맞춰 조정됨)
플랍
플랍은 Kd-8d-4s로 나왔고, Wilson은 자신의 A-하이로 팟의 약 25%를 베팅했으며, Shylko는 더 좋은 A-하이로 콜했습니다.
Wilson의 GTO 전략
Wilson은 이 보드에서 25% 팟 사이즈를 사용, 70% 정도의 빈도로 대부분의 레인지를 베팅해야 하며, As-Td로는 항상 베팅해야 합니다. 이 유리한 보드에서 Wilson이 가지는 에퀴티 어드밴티지 때문에 그는 높은 빈도로 베팅할 수 있습니다. AQs 또는 7x-7x 같은 핸드들은 여전히 베팅보다 체크를 더 자주 선호하는데, 베팅으로 얻을 것이 너무 적기 때문입니다. 77과 AQs는 간신히 씬 밸류벳 할 정도의 세기입니다.
Wilson의 입장에서 ATo로 베팅하는 것은 블러프로써 의미가 있는데, Shylko가 AJ, AQ, 33-22와 같은 더 나은 핸드를 일정 빈도로 폴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다이아몬드를 지니고 있을 경우 플랍에 베팅하는 것은 좋은 플레이인 것이, 콜할 수 있는 플러시 드로우에 대한 블락커로 인해 여러 턴에서 다시 배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Wilson의 GTO 플랍 c-벳 전략
Shylko의 GTO 전략
아래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듯이, Shylko의 핸드는 콜과 폴드 사이에서 무차별합니다. 그가 계속하기 위해선 적어도 백도어 플러시 드로우에 대한 다이아몬드 한 장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Shylko가 AQo로 콜과 폴드를 혼합하는 대신 항상 폴드한다면, Wilson은 이를 공략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더 자주 블러프해야 합니다.
25% c-bet을 상대로 한 Shylko의 AQo의 GTO 전략
턴
턴에는 Qc이 나오며 Wilson은 것샷을 얻었고, Shylko의 핸드는 세컨 페어로 발전했습니다(보드: Kd-8d-4s-Qc). Wilson은 다시 40% 팟 베팅을 했고, Shylko는 주저하며 콜했습니다.
Wilson의 GTO 전략
솔버에 따르면, 이는 IP에 위치한 플레이어(Wilson)가 양극화된 전략을 플레이하고 40% 대신 팟의 2/3를 베팅해야 하는 스팟입니다. EV를 비교해보면, 단일 베팅 사이즈를 사용하도록 설정했을 때, 더 큰 베팅을 하면 Wilson의 EV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턴에서 Wilson에게 선호되는 사이즈는 2/3 팟.
이유는 간단합니다: IP의 플레이어는 첵-백을 통해 무조건 리버 카드를 볼 수 있는 반면, OOP의 경우 그럴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Wilson은 IP에 위치할 때 스택을 전부 넣고 싶지 않은 핸드로 첵-백하고 대신 모든 스택을 넣고 싶은 밸류 핸드들을 중심으로 베팅 레인지를 구축할 유인을 얻습니다. 모든 스택을 넣기를 원하는 핸드로 EV를 극대화하려면, 이 스팟에서 기하학적 벳 사이즈인 팟의 약 2/3로 베팅해야 합니다.
기하학적 벳 사이즈란 무엇일까?
각 스트리트에서 팟 대비 동일한 비율로 베팅하여, 리버까지 가면 스택이 올인이 되는 사이즈를 말합니다. 이는 한 플레이어가 상대방에 비해 완벽하게 양극화되어 있는 경우, 리버까지 모든 스택을 넣는 과정에서 가장 넓은 전체 최소 방어 빈도(MDF)를 생성하기 때문에 최적의 벳사이즈가 됩니다.
그렇다면 Wilson의 턴 배럴은 실수였을까?
위의 분석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Wilson이 자신의 레인지를 두 가지 벳 사이즈로 "분할"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가 세컨 페어 같은 핸드로는 40% 팟 사이즈를 베팅하고, AK 같이 모든 스택을 넣으려는 핸드로는 기하학적 벳 사이즈인 67% 팟을 베팅할 수도 있지만, 이론적으로 이는 EV가 더 증가되는 것도 없이 실행하기 더 복잡한 전략이 될 뿐입니다. 어쨋든 여기서는 Wilson의 편에 서서, 우리는 그가 턴에서 자신의 레인지를 분할한다고 가정하고 분석을 계속할 것입니다.
턴에서 여러 사이즈를 사용했을 때 GTO 전략이 어떤 모습을 지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두 가지 사이즈(40%와 67% 팟)를 사용했을 때 Wilson의 턴 전략
여기서 우리는 Wilson이 것샷으로 항상 베팅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콜을 당하더라도 발전할 여지가 있고, 99-22와 AJ 같이 더 나은 핸드를 폴드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주목할 점은 그가 이 핸드로 두 가지 벳 사이즈(40% 또는 67%)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솔버는 밸류 핸드가 사용하는 모든 벳 사이즈에 블러프를 포함시키는데, 이는 모든 사이즈마다 충분한 블러프로 레인지를 밸런싱 하기 위해서이며, 더 나아가 보드 커버리지를 위해서이기도 합니다.
턴에 Q이 나와서 Wilson의 많은 에어 핸드들이 발전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이를 통해 Wilson은 전반적으로 높은 빈도로 턴에 블러프 할 수 있습니다.
포커에서 보드 커버리지란 무엇일까?
포커에서 보드 커버리지란 플레이어가 다양한 보드 텍스처에서 강한 핸드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Shylko의 GTO 전략
플레이된 것과 같이 Wilson의 턴 베팅을 상대로 Shylko는 항상 자신의 Ac-Qh을 콜해야 하는데, 이제 그가 Wilson의 모든 블러프를 이길 뿐만 아니라 QJ와 같은 일부 밸류 핸드도 이기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스크린 샷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Qx보다 안 좋은 핸드는 무차별해지고 턴 베팅에 자주 폴드해야 합니다:
40% 팟 사이즈 벳을 상대로 Shylko의 콜과 폴드 사이 경계선이 위치한 부분
리버
리버는 Qd. Shylko는 상대에게 세 번째로 체크했고, 상대는 남은 칩을 모두 넣으며 리버 잼을 했습니다.
Shylko의 GTO 전략
리버에 플러시 드로우가 완성되거나 Q이 페어 되었을 때(또는 이 핸드에서처럼 둘 다 발생했을 때), Shylko는 트립스 및/또는 플러시 어드밴티지를 갖게 되기 때문에, Wilson이 리버에서 첵-백 해야 하는 탑 페어와 일부 트립스들로부터 밸류를 못 받아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크벳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어드밴티지는 Shylko가 턴에서 계속하는 레인지의 상당 부분은 Qx-Xx, Kx-Xx, 플러시 드로우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Wilson은 턴에서 자유롭게 베팅할 수 있어 레인지에 에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리버에서 Shylko의 트립스와 플러시 어드밴티지
그렇기 때문에, Shylko는 아래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좋은 트립스들과 플러시들로 팟의 25% 사이즈로 리버에서 거의 항상 동크벳을 해야 합니다.
Shylko 레인지의 리버 동크벳 전략
Shylko가 리버 동크벳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가 Wilson에게 자신의 레인지 전체로 체크했다고 가정하고 그 가정을 바탕으로 분석을 계속할 것입니다.
플레이된 대로, 체크하고 Wilson의 올인에 직면한 후, Shylko는 이제 터프한 스팟에 놓였습니다. 이제 그의 핸드는 블러프를 이기지만, Wilson의 밸류 핸드에는 지고 있습니다. Wilson이 올인을 충분한 밸류와 블러프로 밸런싱하고 있다면, Shylko의 AQ 콤보 대부분은 리버에서 수익성 있게 콜할 수 없습니다.
AQ의 문양에 따라 특정 문양은 다른 문양보다 약간 더 선호되며, 어떤 트립스 콤보는 콜 쪽으로, 다른 트립스 콤보는 폴드 쪽으로 기울어 집니다. 특히 Ac-Qh 콤보는 항상 콜하는데, 왜냐하면 Qh를 지니고 있으면 블러프를 이길 뿐만 아니라 Wilson의 밸류 레인지 내 유일한 트립스 콤보인 Ax-Qs(Qs가 Shylko의 KQo 풀하우스 콤보를 블락)와 스플릿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AQo가 올인에 직면한 상황에서 Shylko의 어려운 리버 결정
Wilson의 GTO 전략
Shylko가 리버에서 다시 체크하기로 결정했을 때, Wilson은 큰 결정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버블 직전에 탈락할 것을 감수하고 블러프를 시도할 것인지 아니면 블러프를 하지 않고 패배를 받아들일(하지만 살아남을) 것인지 말이죠.
리버 카드는 Wilson에게 좋지 않은 카드로, 다른 카드였다면 모든 스택을 넣을 수 있었던 탑페어의 가치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그는 블러프에 있어 좀 더 신중하고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상대가 체크했을 때 ATo를 들고 있는 Wilson의 리버 결정
리버에서 다이아몬드 플러시가 완성되면 다이아몬드 콤보로 블러프하고 싶은 유혹이 강하겠지만, 리버가 덱에서 최악의 카드 중 하나일 때 Wilson은 블러프를 매우 까다롭게 선택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Wilson은 최고의 블러프 콤보로만 베팅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며, 이 경우에는 그것이 Ad-Tx(Shylko의 가장 유력한 플러시를 블락) 콤보입니다.
반면에 Shylko의 세컨 페어를 트립스로 발전시키지 않는 다른 다이아몬드 리버에서는 Wilson의 "블러프 허용 한도"가 올라갈 것이고, Ax-Td로 블러프 하는 것도 충분히 괜찮을 것인데, 이 경우에는 평균적인 콜 빈도가 낮아져 블러프하기에 더 안전한 리버 카드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두 사람 모두 핸드를 꽤 잘 플레이했지만, 약간은 GTO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플랍에서는 두 사람 모두 GTO대로 플레이했습니다. 턴에서 Wilson은 GTO에서 벗어나 보통보다 작은 사이즈를 선택했습니다; 그가 사이즈를 나누고 있었다면 반드시 실수는 아니지만, 이 스팟에서 사이즈를 나누는 것은 흔하지 않고 결국 릭(leak)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전히 의문이 남는 선택이었습니다. 리버에서 Shylko는 트립스로 동크벳을 놓쳤고, Wilson은 포기했어야 하는 핸드로 블러프를 선택했습니다.
비록 두 플레이어 모두 GTO에서 약간 벗어났지만, EV 측면에서는 최적의 플레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GTO Wizard의 솔루션과 100%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훌륭한 플레이였습니다!
GTOWizard 할인 코드 링크(링크를 타고 가서 아이디 생성):
https://gtowizard.com/p/pokergosu
출처: PokerNews
원문 링크: https://www.pokernews.com/strategy/gtowizard-brandon-wilson-triton-poker-48315.htm
스크랩
댓글 수
4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5.04.09 03:58:26
포커 진짜 어렵다
2025.04.09 07:34:22
배워갑니다
2025.04.09 11:13:19
지티오 참쉽죠 ???
2025.04.12 17:23:21
영상은 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