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71
추천 수 10
2023.11.15 15:47:31
2022년 11월 17일 Andrew Brokos
스택 대 팟 비율(SPR)은 유효 스택이 얼마나 깊은지, 그리고 그에 따라 이미 팟에 들어있는 돈을 따기 위해 전체 스택을 위험에 빠뜨리려면 얼마나 강한 핸드가 필요한지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즉, 이는 위험과 보상에 대한 계산입니다: 전체 유효 스택은 모든 플레이어들이 보상인 팟을 얻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위험의 최대 금액입니다.
때로는, 특히 플랍 전에는, SPR이 아닌 빅 블라인드로 스택 사이즈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덜 유용한 측정 방식입니다. 보상을 고려하지 않은 채 위험에 대해 논하는 것은 완전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SPR은 유효 스택(감수할 수 있는 위험의 최대치)을 팟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팟에 $100가 들어 있는 상황, 여러분은 한 명의 상대와 플랍을 보았으며, 상대는 곧바로 $100를 올인합니다. 상대가 올인하기 전, 여러분이 플랍을 본 그 순간의 SPR은 얼마였나요? 올인에 콜하려면 얼마나 많은 에퀴티가 필요할까요?
유효 스택이 $100인 상황에서 팟에 $100가 들어있다면, SPR은 $100/$100 = 1입니다. 이 베팅에 콜하려면 최종적인 팟 $300 중 $100를 넣어야 하므로 $100/$300 = 33%의 에퀴티가 필요합니다.
SPR이 2인 경우, 베팅 금액은 $200가 되며, $200/$500 = 40%의 에퀴티가 필요합니다. SPR이 3이라면, $300의 베팅을 콜하기 위해 $300/$700 = 43% 에퀴티가 필요합니다. 이미 팟에 들어있는 돈에 비해 더 많은 돈을 걸어야 할 수록 베팅이나 콜을 통해 이익을 얻기 위해 더 강한 핸드를 가져야 합니다. (이러한 계산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먼저 이 팟 오즈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세요).
SPR이 높아질수록 상대방이 자신의 스택을 걸기 위해 더 강한 핸드가 필요하므로, 이는 복리적인 효과가 있습니다. SPR 1인 상황에서, 상대방은 여러분이 결코 폴드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약 35%의 에퀴티를 갖는 플러시 드로우로 올인할 수 있습니다. 그녀의 레인지에 상대적으로 약한 핸드들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분의 상대적으로 약한 핸드들은 33%의 임계값에 더 쉽게 도달할 것입니다.
SPR이 높으면, 상대의 전체 스택이 팟에 들어갈 때 상대의 핸드가 더 강해질 것으로 예상해야 합니다. 이는 팟 대비 더 많은 돈을 거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더 많은 에퀴티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레인지가 더 강해지기 때문에 해당 에퀴티를 가질 가능성이 적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PR에 따른 손익분기를 위해 필요한 에퀴티
위 차트는 두 플레이어 모두 폴드하지 않는 상황에서 모든 돈이 한 번에 들어가는 시나리오를 나타냅니다. 손익분기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에퀴티는 콜에 필요한 팟 오즈로 정의됩니다 . 매우 낮은 SPR에서, 이는 현실적입니다.
스택이 깊어질수록 베팅은 일반적으로 더 복잡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플레이어들은 좋은 에퀴티를 가진 핸드와 상대를 폴드시키기를 원하는 핸드의 조합으로 베팅합니다. 그런 다음 상대가 레이즈한다면, 그녀는 동일한 기준으로 레이즈 레인지를 구성합니다. 물론 그녀는 그렇게 많은 폴드 에퀴티를 기대하지 못할 수도 있고, 레이즈에 콜이 나오면 더 강한 레인지와 만나게 될 것을 예상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원래 플레이어는 올인 베팅이 콜 당하면 상대가 아마도 강한 핸드를 가질 것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폴드 에퀴티와 팟 에퀴티를 함께 고려해 올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몇몇 핸드들은 상대방의 레인지가 더 강해지더라도 다른 핸드보다 에퀴티를 더 잘 유지합니다. 이 속성을 흔히 "에퀴티 보존" 또는 "견고함"이라고 부릅니다.
모든 페어 및 모든 드로우들로 이루어진 레인지 - SPR 1에서 상대가 모든 스택을 넣을 수 있을법한 레인지- 상대로 미들 페어는 꽤 좋은 에퀴티를 갖습니다. 탑 페어 이상과 가장 강력한 드로우들로 이루어진 레인지(SPR 4에서 볼 수 있는 올인 레인지) 상대로 미들 페어는 거의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지 못합니다. 바텀 셋은 SPR 4의 올인 레인지 상대로 큰 에퀴티를 가지고 있지만, SPR 100에서는 더 높은 셋만을 만나게 될 것으로 예상해야 하며, 이 경우 아웃이 하나뿐이므로 에퀴티가 매우 낮습니다.
드로우의 마법은 셋처럼 상대를 에퀴티 상으로 압도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에퀴티가 견고(robust) 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핸드들은 상대의 레인지가 강해진다고 해서 에퀴티가 급격히 감소하지는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높은 SPR에서는 드로우가 미들 페어와 같은 마지널한 핸드보다 베팅과 체크 레이즈를 통해 팟을 키우는 데 더 좋은 핸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드로우가 넛 드로우일 때 가장 그러합니다. 약한 핸드에 대한 드로우는 메이드 핸드를 상대로 여전히 견고한 에퀴티를 가질 수 있지만, 강한 드로우를 만나게 되었을 때는 좋지 못합니다. 상대의 레인지가 강해질수록 넛 드로우의 비중이 높아지며, 따라서 약한 드로우를 완성시키더라도 팟을 잃게 될 가능성이 높아져 그러한 핸드의 에퀴티가 감소합니다.
아래 차트는 MTT 유효 스택 14BB SRP BTN vs BB 상황의 Jh-8d-5h 플랍의 것입니다. 프리플랍 액션 이후 팟에는 5.5BB가 있고 유효 스택은 12BB여서 SPR은 2를 약간 넘습니다. BTN의 플랍 올인을 상대로 한 BB의 대응을 살펴보겠습니다. BTN이 균형 상태에서 올인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이에 대응하는 솔버 전략은 여전히 알아둘 가치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세컨 페어와 심지어 몇몇 로우 페어(백도어 플러쉬 드로우가 있는 경우 일부 써드 페어들도 콜)도 콜을 하기 때문에, 탑 페어 또는 그 이상의 페어는 폴드 에퀴티가 없어도 올인을 하기에 충분합니다. 대부분의 플러쉬 드로우로는 콜하지만, 가장 약한 것들로는 폴드합니다. 9아웃만으로는 콜에 필요한 40%의 에퀴티를 충족시킬 수 없지만, 대부분의 드로우들은 페어를 만들 가능성을 지니고 있고, 넛 플러쉬 드로우의 경우에는 이미 베스트 핸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도 백도어 플러쉬 드로우가 있으면 콜을 할 수 있지만, 것샷은 가장 좋은 것이라도 폴드합니다.
위의 결과를 30BB 유효 스택의 동일한 상황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SPR은 5 정도 입니다.
이렇게 높은 SPR에서는 탑 페어로 올인하는 것이 약간 위험해지기 시작하며, 넛 플러쉬 드로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픈-엔디드 스트레이트 드로우는 이제 순수 폴드입니다. 단, 하트 플러쉬 드로우가 있는 콤보 드로우일 때는 콜합니다.
실제 게임 상황에서는 5x 팟 쇼브에 직면할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몇몇 핸드들로는 여러 번의 작은 베팅에 콜하거나, 레이즈하는 것을 통해 올인하는 것이 올바른 플레이일 수 있으며, 폴드 에퀴티를 통해 이득을 취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차트는 SPR에 따라 올인 핸드의 기준이 어떻게 높아지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SPR이 16인 상황에서 동일한 시나리오를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탑 페어와 모든 넛 플러시 드로우는 이제 콜과 폴드 사이에서 무차별합니다: 심지어 Ah-Jx 조차도 순수 콜이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콤보 드로우들은 순수 콜이 유지됩니다: 9h-7h, 7h-6h, 그리고 플러시 드로우 + 세컨 페어 핸드들은 수익적인 콜입니다. 이는 핸드 견고함의 좋은 예입니다. 이러한 핸드들은 상대의 레인지가 강해지더라도 더 많은 에퀴티를 보존하는 반면, 발전할 가능성이 거의 없는 메이드 핸드들은 가치가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팟의 16x 올인을 하는 상대는 자주 셋, 오버페어 또는 투페어를 가지게 되므로, 이를 상대로 탑페어는 매우 좋지 못하게 됩니다.
이것이 정확히 딱 떨어지는 비교는 아닙니다. 플랍을 보는 두 플레이어의 레인지는 각 SPR에서 약간 다르며, 팟 사이즈 또한 마찬가지입니다(딥 스택일수록 BTN은 약간 더 큰 프리-플랍 레이즈 사이즈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도 교훈이 있습니다: 프리플랍 레인지는 포스트플랍 플레이를 염두에 두고 구성되어야 합니다. NLHE의 목표는 항상 전체 스택을 걸고 플레이할 수 있을만큼 좋은 핸드를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팟과 비교하여 "전체 스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14BB 딥에서 BB는 때때로 가장 큰 포켓 페어들로 프리플랍에 콜을 하여 슬로우-플레이를 합니다. 이는 그녀가 SRP에서도 매우 낮은 SPR을 예상할 수 있고, 그 정도 SPR에서는 오버페어로 편안하게 올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택이 깊어질수록, BB는 프리-플랍에서 그러한 핸드들로 오직 3벳만 합니다. SPR 4 이상에서, 원 페어만으로는 아무리 강해도 올인하기 위험해지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강한 원 페어를 만들기에는 좋지만 그 이상 발전하기는 힘든 KK, AA 및 AK와 같은 핸드는 플랍이 떨어졌을 때 낮은 SPR 상황이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3벳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Andrew Brokos는 15년 넘게 프로 포커 플레이어, 코치 및 작가로 활동해 왔습니다. 그는 Thinking Poker Podcast의 공동 진행자이며, Play Optimal Poker 등 훌륭한 서적들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Play Optimal Poker 2의 구매 링크 (1권도 곧 출간 예정):
https://smartstore.naver.com/pokergosu/products/8471618390
GTOWizard 할인 코드 링크(링크를 타고 가서 아이디 생성):
https://gtowizard.com/p/pokergosu
출처: GTOWizard 블로그
댓글 수
6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2023.11.15 15:52:46
개추
2023.11.15 16:08:35
무슨 알고리즘 탔나... 원턴쭉턴으로 SPR값에 대한 언급이 슬슬 나오는데 그걸 읽네 고수...
2023.11.15 17:14:23
안읽었지만 개추
2023.11.15 18:22:08
박고기도
2023.11.16 04:24:50
너무좋다
2023.11.16 08:27:30
이제 펍커들 spr이 어쩌구까지 할거아냐 아 안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