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104
추천 수 28
2025.04.15 10:52:51
스크랩
댓글 수
23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조회 수 6104
추천 수 28
2025.04.15 10:52:51
스크랩
댓글 수
23
댓글 작성은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클릭 시 로그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글 수
6,906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추천 수 |
---|---|---|---|---|
2025-04-16 | 10977 | 31 | ||
2025-04-16 | 2971 | 32 | ||
2025-04-16 | 2366 | 25 | ||
2025-04-16 | 3423 | 61 | ||
2025-04-16 | 1944 | 22 | ||
2025-04-16 | 4557 | 28 | ||
2025-04-16 | 8785 | 43 | ||
2025-04-16 | 1360 | 28 | ||
2025-04-16 | 7373 | 27 | ||
2025-04-15 | 1138 | 21 | ||
2025-04-15 | 3595 | 16 | ||
2025-04-15 | 1850 | 26 | ||
2025-04-15 | 6105 | 28 | ||
2025-04-14 | 3605 | 18 | ||
2025-04-14 | 7429 | 13 | ||
2025-04-14 | 1989 | 19 | ||
2025-04-14 | 1713 | 33 | ||
2025-04-14 | 2552 | 29 | ||
2025-04-13 | 2227 | 14 | ||
2025-04-13 | 2113 | 17 |
2025.04.15 10:53:39
대고수 ㄷㄷㄷ 난 30년갚아야함
2025.04.15 10:53:49
집 차 가족 다가졌네..
2025.04.15 10:54:07
캬 내집마련 부럽다
2025.04.15 10:55:23
ㅈ고수 재벌
2025.04.15 11:02:30
굿잡
2025.04.15 11:04:06
캬 축하드립니다!!
2025.04.15 11:11:00
ㄷㄷㄷ
2025.04.15 12:23:06
성실해
2025.04.15 13:00:55
부자네~ 대출 8.5억 받으면서 집샀고~ 6년만에 조기 상환 완료했으면 ㅎㅎ
ㅊㅋㅊㅋ
2025.04.15 13:24:36
여윽시 형님 멋지십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축하드려요
2025.04.15 13:26:39
도박러가 집을? 무쳤네
2025.04.15 13:34:48
능력이 어마어마하시넹 ㄷㄷ
2025.04.15 13:40:54
모두들 축하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6년 전, 집 한채 매수하면서 무리 했던 기억이 납니다.
다행히 가지고 있던 땅을 좋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어,
생각보다 빨리 대출 상환을 하였네요.
지금 생각해보면, 예상치 못한 행운이 찾아왔던 것 같습니다.
좋은 생각과 긍정적인 시선으로 살아가시는
좋은 분들에게도 행운이 은은히 찾아오길 바랍니다.
감사의 마음을 담아 가끔 커피 이벤트로 찾아 뵙겠습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2025.04.15 13:53:46
ㅊㅋ합니다
2025.04.15 14:33:21
ㅅㅅㅅㅅㅅ축하
저도 어떻게할까 망설여지는데 조언좀부탁드립니다
대선이후까지 관망하는게 ㅅㅌㄷㄷ인지
망설이다가 작은기회마저놓치는건지 어렵네요
2025.04.15 15:44:33
@블랙티
저는 이번 하락기때 매매하긴 하였는데,
부동산이 장기적으로는 좋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반포 원베일리처럼 30평대가 평당 1.9억원.. 너무 거품입니다. 한남도 아니고, 압구정도 아니고, 교통도 편한 편은 아니라 생각됩니다만, 집값은 주가와는 달리 가격방어에 대한 단결력이 매우 강하기에 특히 우리나라는 자산 중 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으므로, 현상이 그리 나타난다고 생각합니다.
부동산의 특성 상, 오를 수 밖에 없고 내려가지는 않는다지만, 거품은 거품입니다.
하지만, 부동산을 국가차원에서 본다면, 그냥 땅거래가 아닌, 그에 따른 대출과 거래 등 파생되어서 나오는 유동성이 엄청나기에 부동산 거품이 터지면 그 나라 경제 기반 자체가 붕괴되는 수준일 것 입니다. 생각해 보시면, 홍콩과 싱가폴의 경우 우리나라 보다 훨씬 거품인 상황이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그 상태로 계속 경제가 돌아간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회의적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앞으로 인구구조와 부동산 공급, 수요 간의 균형이 맞지 않을 때가 찾아 오지 않을까 입니다. 가격이 높지만 서울 내 입지 좋은 곳, 혹은 앞으로 젊은 세대들로 구성되는 신도시 쪽이 그나마 업사이드가 열려 있는 것 같습니다.
2025.04.15 16:01:40
@빤츄맨의향기
마음이 불편하시더라도, 하락기에 사는 것이 제일 좋은 것 같습니다.
급하시다면, 부동산 몇 곳에다가 급매 우선 전해주면 수수료 높이 드리겠다고 깔아 두시면,
1~2천 수수료 더 주더라도, 1억은 싼 매물을 찾는 기회도 잡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아니면 이번 둔촌주공 처럼, 이슈가 생긴 (건물하자가 아닌 사업문제), 가격 하락되는 곳들 중 찾아 보셔도 좋아 보이나,
괜찮은 지역과 괜찮은 아파트에 일시적인 리스크 (해소될 것이라 예상되는)는 기회로 작동하는 것 같습니다.
제 짧은 소견으로는 국민평형 84타입이나 109타입 정도가 좋아 보입니다. 대형 평수들은 확실히 상승폭이 둔한 것 같더라구요.
저는 지역도 지역이지만, (초등학교를 품고 있는 대단지, 교통, 인프라, 호재성) 이 정도로 선별했었습니다.
대선 이후에 (물론 진영에 따라 서울이 소외될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만..), 공급정책이 재개발 건들을 누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재개발이야 필연이지만, 그 프리미엄 보다는 공급되는 부동산에 더 업사이드가 열려있다곤 생각합니다.
2025.04.15 20:26:42
@빤츄맨의향기
아무리 거품같아도 인서울요지는 어쩔수없는거같고.. 광역시부터 무너질때쯤 그때 또 한번 서울펌핑올거임 어쩔수가없어 진짜
2025.04.15 16:29:08
2025.04.15 16:35:32
와 멋있다!! 축하!
2025.04.15 19:03:01
ㅅㅅㅅㅅㅅ 항상 화이팅하세요
2025.04.15 22:21:04
ㅈㄴ 멋짐
2025.04.16 01:17:51
ㅊㅊㅊㅊㅊㅊㅊ